베이징 한국 기업 광고판 사전통보 없이 심야 철거

베이징 한국 기업 광고판 사전통보 없이 심야 철거

김규환 기자
입력 2019-07-02 00:24
업데이트 2019-07-02 02: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현대 등 홍보 120여개 뜯어내, 작년 70개 이어… 일각 “길들이기”

중국에서 삼성과 현대·기아차 등 한국 기업들을 홍보해온 베이징 시내 옥외 광고판 120여개가 심야에 기습적으로 강제 철거됐다.

1일 베이징 현지 소식통 등에 따르면 베이징시 정부는 지난달 29일 밤 늦게 철거반 300여명을 동원해 베이징 중심가 창안제(長安街) 일대 버스 정류장 등에 설치돼 있는 한국 기업 옥외 광고판을 모조리 철거했다. 200여개의 한국 기업 옥외 광고판 가운데 지난해 7월 1차로 70여개가 뜯어낸 데 이어 이날 나머지 광고판이 모두 철거된 것이다.

톈안먼(天安門)으로 이어지는 베이징 내 중심 도로인 창안제에는 삼성과 SK, LG 빌딩 등이 들어서 있고, 도로 중간중간에 있는 버스정류장 옥외 광고판에서는 한국 기업들의 홍보 광고가 실려 있었다. 이번 광고판 철거 역시 지난해 7월 때와 같이 사전 통보 없이 몰래 이뤄졌다. 철거 사유는 지난해와 같은 ‘환경 정비’다. 이 광고판을 관리하는 업체인 IMS는 계약 만료일을 2년 정도 남긴 2015년 항일 전승 70주년 기념 퍼레이드에 맞춰 경관을 정비해 달라는 베이징시의 요구에 따라 수십억원을 들여 광고 시설을 리모델링해 계약 기간을 2025년까지 연장했다. 그러나 지난해 베이징시는 돌연 환경 정비를 이유로 철거 명령을 내렸다. IMS 측과 베이징시는 이 문제를 두고 보상대책 등을 논의했지만 합의에 실패했다.

일각에서는 기습 철거가 한국 기업들에 대한 길들이기가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베이징의 한 교민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달 말 일본 오사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연설에서 중국 시장에서 평등한 대우를 외쳤지만 뒤로는 국제 관행을 무시하고 해외 기업과 맺은 계약서를 휴지 조각으로 취급하는 중국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9-07-02 8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