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2조’ 아시아나항공 인수전 개막
SK·한화 등 대기업은 예비입찰 불참애경 ‘현금 실탄’ 부족해 완주 불투명
미래에셋, 현대산업개발과 컨소시엄
사모펀드 KCGI, 컨소시엄 공개 안 해
증권업계 “사모펀드 2곳도 입찰 참여”
재계 “대기업들 본입찰 참가 가능성”

이번 매각은 금호산업이 보유한 아시아나항공 주식(구주)과 아시아나항공이 발행하는 보통주식(신주)을 인수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구주 인수 대금과 신주 발행액, 경영권 프리미엄(20∼30%)을 합하면 인수에 1조원 이상의 자금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된다. 거기에 에어서울, 에어부산, 아시아나IDT 등 6개 자회사까지 ‘통매각’하겠다는 입장이어서 최종 매각 가격은 1조 5000억~2조원에 이를 것으로 관측된다.
아시아나항공 인수에 조 단위의 자금이 필요한 만큼 현금성 자산 3000억~4000억원을 보유한 애경이 실제로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제주항공을 갖고 있는 애경은 일단 실사에만 참여하면 이후 인수전을 완주하지 못하더라도 상당한 실익을 챙길 것으로 보인다. 아시아나항공이라는 대형 항공사의 오랜 경영 전략 노하우를 들여다볼 수 있어서다.
재무적투자자(FI)로 컨소시엄을 구성해야 하는 KCGI와 미래에셋대우는 말을 아꼈다. KCGI 측은 “컨소시엄 구성은 공개할 수 없다”면서 “항공업이 유가와 환율 불안 등 구조적인 리스크, 과당 경쟁, 높은 재무 위험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경영참여형 사모펀드로서 항공업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밝혔다.
막판에 참여한 미래에셋 역시 컨소시엄 구성을 공식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하지만 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은 HDC현대산업개발과 손을 잡았다. 현대산업개발은 2015년부터 호텔신라와 면세점을 운영해 왔다. 항공사 인수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만하다.
한 투자은행(IB) 관계자는 “이 정도 인수 후보군에 산업은행이 만족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 유찰 가능성이 매우 높다”면서 “시기가 너무 안 좋았다. 항공업계 분위기가 최악일 때 진행됐다. 연내에 인수합병을 마무리하겠다는 것도 너무 성급했다”고 평가했다. 또 다른 IB 관계자는 “매각가가 너무 높다. 희망 가격을 낮춰야 SK, 한화 등이 들어올 것”이라면서 “이번에 유찰되고 가격이 내려가면 대기업도 참여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재계 관계자는 “대기업들이 예비입찰에 참여하지 않고도 본입찰에는 참여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매각 상황을 주시하다가 기회라고 생각하면 인수전에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강신 기자 xin@seoul.co.kr
2019-09-04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