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우 두나무 대표 기자간담회
디지털자산 거래하는 것 자연스러워내년 좋은 블록체인 서비스 나올 것
![이석우 두나무 대표가 4일 인천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진행된 업비트 개발자회의(UDC 2019)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두나무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9/04/SSI_20190904171251_O2.jpg)
두나무 제공
![이석우 두나무 대표가 4일 인천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진행된 업비트 개발자회의(UDC 2019)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두나무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9/04/SSI_20190904171251.jpg)
이석우 두나무 대표가 4일 인천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진행된 업비트 개발자회의(UDC 2019)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두나무 제공
두나무 제공
이 대표는 이날 인천 중구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열린 ‘업비트 개발자 콘퍼런스’(UDC 2019) 기자간담회에서 “국회 정무위원회가 좀더 관심을 가져 줬으면 하는 바람”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FATF 권고안이 나온 이후 블록체인협회를 중심으로 업계 차원에서의 대책을 마련해 보려고 노력하고 있다”면서 “구체적인 안을 만들어 당국과도 대화를 하고 싶다. 아직까지 정부에서 연락이 온 것은 없다”고 말했다. FATF는 지난 6월 총회를 열고 암호화폐 거래소 인허가나 신고 등록 절차를 의무화하는 공개 성명서를 채택했다. 한국을 비롯한 회원국은 내년 6월까지는 관련 법안을 마련해야 한다. 업계는 FATF 권고안이 암호화폐와 거래소가 법적인 지위를 갖추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대표는 “(블록체인 시장에서) 성공 사례가 나온다면 게임이 될 것”이라며 “이 분야에서는 디지털 자산을 거래하는 것이 너무 자연스러워 네이버나 카카오에 있을 때부터 유심히 봐 왔다”고 말했다. 그는 “편리한 사용자인터페이스(UI)와 사용자경험(UX)이 아직 블록체인에 도입되지 않았다”면서 “초당거래속도(TPS)를 향상시키는 등 근본적 질문도 있겠지만 사용성을 어떻게 개선할지에 관심이 크다”고 했다. 이어 “지난해와 올해가 어느 정도 옥석이 가려지는 시기였다면 내년에는 좀더 차분한 분위기 속에서 좋은 블록체인 서비스가 나올 것”이라고 관측했다. 이 대표는 2004~2010년 NHN에 몸을 담았으며, 2011년에는 카카오로 자리를 옮겨 카카오톡을 ‘국민 메신저’ 반열에 올려놓았다. 암호화폐 열기가 뜨겁던 2017년부터는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 등을 서비스하는 핀테크 전문 기업인 두나무의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19-09-05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