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소재·부품·장비 100+α 육성… 연간 2조원 재정 투입”

홍남기 “소재·부품·장비 100+α 육성… 연간 2조원 재정 투입”

김동현 기자
김동현 기자
입력 2019-10-11 11:32
업데이트 2019-10-11 11: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본 수출 규제 100일 맞아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위 본격 가동

이미지 확대
국회 간 경제부총리·고용부 장관
국회 간 경제부총리·고용부 장관 홍남기(왼쪽)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이 1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에서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를 만나 노동 관련 법안의 조속한 처리를 요청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
정부가 소재·부품·장비 핵심전략품목 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품목별 맞춤형 우선 순위를 정한다.

11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1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위원회에서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1일 “소재·부품·장비 핵심전략품목의 공급망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100+α에 해당하는 품목과 품목별 우선순위를 결정해 맞춤형 전략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활동을 시작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위원회는 일본의 수출 규제 100일을 맞아 본격 가동됐다.

홍 부총리는 “그간 정부가 발표한 대책들을 보다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3대 전략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면서 “소재·부품·장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특별회계를 신설해 매년 2조원 이상 재정을 투자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가치사슬(VC) 구축을 위해 경쟁력위원회 산하 실무추진단과 대·중·소 상생협의회 등을 통해 기업 간 협력모델을 발굴하고 맞춤형 패키지 형태의 지원을 하겠다”면서 “3가지 핵심전략을 뒷받침할 수 있는 추진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주요 대책의 법적 근거가 되는 특별법이 연내 개정되도록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홍 부총리는 범정부 차원의 수출 규제 대응 결과와 기업들의 투자 성과 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홍 부총리는 “3대 품목 중 하나인 불산액의 경우 중국과 대만 등의 국가로 수입국을 다변화해 일부 생산공정에 투입 중”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주요 소재와 부품에 대한 민간투자고 확대되고 있다”고 강조하며 “효성은 1조원을 투자해 내년부터 전주 탄소섬유 공장을 증설하기로 했고, 현대모비스도 2021년 친환경 차 부품 양산을 목표로 3000억원 규모의 공장 투자를 결정했다고 소개했다. 또 삼성은 7년간 13조1000억원 규모의 디스플레이 부문 투자계획을 내놨다”며 구체 사례를 언급하기도 했다.

이날 회의에는 소재·부품·장비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기업 간 협력방안이 회의 안건으로 올랐다. 홍 부총리는 “대·중·소기업의 상생협력을 만드는 것은 관련 산업 경쟁력 강화의 핵심”이라며 “협동 연구개발, 공급망 연계, 공동 투자, 공동 재고 확보 등 기업 간 협력모델을 추진하겠다”며 기업 간 협력사례에 대해선 규제 특례 등의 혜택을 주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세종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