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2776명 총 875억 첫 신고
상위 10% 2억원… 하위 50% 108만원업종코드 신설에도 자영업 신고 ‘한계’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2/14/SSI_20210214163002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2/14/SSI_20210214163002.jpg)
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실이 국세청으로부터 받은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 수입금액 백분위 자료’에 따르면 2019년 귀속연도 종합소득을 신고한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 2776명이 신고한 수입액은 총 875억원이었다.
인터넷·모바일 기반 미디어 플랫폼에서 영상콘텐츠를 제작해 수익을 올리는 유튜버, BJ(1인 미디어 진행자) 등은 그동안 별도 업종코드가 없어 ‘기타 자영업’으로 소득을 신고해 왔다. 그러나 국세청은 신종 사업자들의 소득을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2019년 9월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과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이라는 업종 코드를 신설해 지난해 처음 신고를 받았다.
특히 상위 1%에 해당하는 27명의 수입액은 총 181억 2500만원으로 1인당 평균 6억 7120만원으로 나타났다. 전체 수입액의 20.7% 수준이다. 상위 10%(277명)의 총수입액은 598억 8600만원으로 1인당 2억 1620만원이었다. 반면 하위 50%의 수입액은 1인당 108만원꼴인 15억원이었다.
다만 유튜버들의 정확한 수입을 파악하기엔 업종 코드 신설만으론 여전히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해 1월 기준 연 수천만원의 소득을 올리는 것으로 추정되는 구독자 10만명 이상의 유튜브 한국 계정 수만 3400여개였기 때문이다. 양 의원은 “자진 신고를 철저하게 유도하고 소득세 탈세가 이뤄지지 않도록 국세청의 철저한 관리 감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세종 나상현 기자 greentea@seoul.co.kr
2021-02-15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