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농축수산물 물가 12.6% 상승
소비자물가지수 1.8%… 4년 새 최대 증가
파값 156% ‘껑충’… 27년 만에 급등률 커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7/05/SSI_20210705182838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7/05/SSI_20210705182838.jpg)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 상반기(1~6월) 농축수산물 물가지수는 전년도 상반기보다 12.6% 상승했다. 상반기 기준으로 1991년(14.8%) 이후 30년 만에 가장 높았다. 2011년(12.5%) 이후 10년 만에 두 자릿수 증가율이다. 상반기 전체 소비자물가지수는 1.8% 오르며 2017년(2.1%) 이후 4년 만에 가장 크게 올랐다.
올 초 ‘금파’라 불렸던 파는 지난해 상반기 대비 156.6% 급등해 1994년(424.2%) 이후 27년 만에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사과 역시 54.3% 뛰어 1999년(59.2%) 이후 22년 만에 최대폭 상승이었다. 이 외에 배(47.0%), 복숭아(43.8%), 감(22.0%), 마늘(45.7%), 고춧가루(34.9%) 등도 눈에 띄게 올랐다.
농축수산물 물가가 급등한 것은 지난겨울 한파와 잦은 눈으로 작황이 부진한 영향이 컸다. 특히 파는 재배 면적도 줄면서 출하량이 급감했다. 여기에 조류인플루엔자로 인해 달걀 가격도 크게 치솟았다. 올 상반기 달걀 물가지수는 지난해보다 38.9% 뛰었다.
다만 하반기부터는 가격이 안정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앞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지난 4월부터 봄 대파 출하가 시작되면서 가격이 점차 안정세를 찾아갈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로 월별 파 물가지수는 지난 3월엔 전년 대비 305.8%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지만, 이후 4월(270.0%)과 5월(130.5%), 지난달(11.3%)을 거치며 상승폭이 크게 낮아졌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3분기 달걀 공급량 회복과 4분기 곡물·과실류 수확기 도래에 따른 공급 회복으로 점차 하향 안정화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2021-07-06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