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재확산으로 경기 하방위험 커져

코로나 재확산으로 경기 하방위험 커져

임주형 기자
임주형 기자
입력 2021-10-07 20:58
수정 2021-10-08 06: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KDI, 6개월 만에 부정적 전망 돌아서

이미지 확대
오늘도 긴 줄
오늘도 긴 줄 7일 오전 서울 송파구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시민들이 코로나19 검사를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2천427명 늘어 누적 32만5천804명이라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 수는 전날(2천28명)보다 399명 늘면서 이틀째 2천명 이상으로 집계됐다. 2021.10.7 연합뉴스


글로벌 공급망 충격과 인플레이션 우려로 금융시장이 출렁이는 가운데 실물경제도 생산이 위축되고 하방 위험이 확대되고 있다고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진단했다.

KDI는 7일 발간한 ‘10월 경제동향’에서 “코로나19 재확산과 방역조치 강화가 장기간 지속됨에 따라 대면서비스업의 부진이 심화되고 있다”며 “숙박 및 음식점업 등 주요 대면업종에서 생산이 감소하고 고용도 위축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제조업은 반도체를 중심으로 개선 흐름이 유지되고 있으나, 최근 중간재 수급 불안으로 자동차 등 일부 업종의 생산이 위축되고 기업 심리지표가 하락하는 등 하방 위험이 확대되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제조업 업황 BIS 전망 3개월 연속 하락

지난 4월까지 ‘하방 위험’을 언급했던 KDI는 5월 코로나19 사태 이후 처음으로 ‘경기 회복’을 밝혔고, 7~9월에도 ‘불확실성이 있지만 완만한 경기 회복’이라는 평가를 내렸다. 올 4월 이후 6개월 만에 부정적인 전망으로 돌아선 것이다.

각종 경제지표도 실물경제의 녹록지 않은 흐름을 보여 주고 있다. 제조업 업황 기업경기실사지수(BIS) 전망(계절조정)은 지난 7월 101까지 상승했다가 8월 96, 9월 94, 이달 92로 3개월 연속 하락했다. 이 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높으면 업황을 긍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많고 낮으면 부정적인 기업이 많다는 의미다. KDI는 “자동차 등 일부 업종의 중간재 수급 불안과 물류 차질이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의 통화정책과 중국 기업부채에 대한 우려로 대외 여건에 대한 하방 위험도 확대되면서 향후 제조업 개선세를 제약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글로벌 경제도 주요국 기업심리 위축 등 약화

글로벌 경제에 대해선 코로나19 재확산과 공급망 교란 등으로 경기 회복세가 약화되고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는 등 개선세가 둔화됐다고 평가했다. 세계 산업생산과 상품교역이 정체된 가운데 미국과 중국 경제에 대한 우려가 확대됨에 따라 주요국의 기업심리가 위축됐다고 분석했다. KDI는 “지난달부터 정부의 소비 진작 정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백신도 광범위하게 보급되면서 사회적 거리두기의 부정적 영향은 완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2021-10-08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