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0/13/SSI_20211013140358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0/13/SSI_20211013140358.jpg)
13일 한국은행의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8월 평균 광의 통화량(M2 기준)은 3494조 4000억원으로, 7월(3443조 9000억원)보다 50조 5000억원(1.5%) 늘었다. 잔액 기준으로는 역대 최대 기록이다. 증가액 기준으로도 2001년 12월 통계편제가 시작된 이후 최대치다.
M2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 등 협의통화(M1)에 머니마켓펀드(MMF), 2년미만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 등 금융상품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통화 지표로, 언제든 현금화할 수 있는 유동성 자금을 뜻한다.
금융상품별로 2년미만 금전신탁이 9조 2000억원 증가했다. 요구불예금은 지방정부 교부금 유입 등으로 8조 4000억원 증가했고,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은 8조 1000억원 증가했다.
경제주체별로는 증권사 등 기타금융기관에서 18조 2000억원이 늘어 통계 작성 이래 사상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한은 관계자는 “일부 대형 공모주에 대한 청약자금 유입이 지속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기업도 16조 9000억원 증가했다. 중소기업에 대한 금융기관의 정책지원이 지속된 가운데 기업공개를 통한 직접자금조달 규모 확대 및 예비자금 확보 수요도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도 주택 매매 및 전세 거래 등을 위한 대출자금 수요가 지속되면서 11조 3000억원 증가했다. 기업과 가계가 대출 등으로 조달한 자금을 금융기관에 예치하거나 증권사 등에 모인 공모 자금을 MMF(머니마켓펀드), 정기 예·적금 등에 넣어 운용하면 모두 통화량으로 잡힌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