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썸 간 금융위 사무관… 가상자산업계, 금융당국 출신 ‘러브콜’

빗썸 간 금융위 사무관… 가상자산업계, 금융당국 출신 ‘러브콜’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21-12-06 20:54
수정 2021-12-07 00: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취업 심사 대상 아니어서 바로 출근 가능
제도권 편입 앞두고 자문·규제대응 용이
핀테크도 수요… 인력 줄줄이 유출 우려

금융위원회 현직 사무관이 가상자산거래소 빗썸으로 이직하기 위해 사직서를 냈다. 가상자산 시장이 커진 데다 제도권 편입을 앞두고 있는 만큼 앞으로 금융당국 출신 인사 영입을 위한 경쟁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6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최근 금융위 소속 A사무관은 빗썸으로 이직하고자 사표를 제출했다. 해당 사무관은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취업 심사 대상은 아니기 때문에 사표가 수리되면 바로 빗썸으로 출근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경제적 이유로 대기업 등으로 이직한 사례는 있었지만, 금융위 소속 공무원이 가상자산 업계로 자리를 옮기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올해 들어 금융감독원 핀테크 현장자문단 소속 부국장이 가상자산거래소 업비트로 자리를 옮겼고, 코인 발행사인 피카프로젝트는 금감원 자본시장국장 출신 인사를 영입하기도 했다. 여기에 금융위 출신이 가상자산 업계로 가게 되면서 금융당국의 인력 유출이 지속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가상자산 업계는 국내 4대 가상자산거래소의 지난달 거래량이 390조원에 달할 정도로 호황을 맞고 있다. 지난 9월 특정금융법 개정안이 시행되면서 금융당국이 가상자산 업계를 전반적으로 관할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 출신 공무원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제 막 시작한 금융산업인 터라 금융당국 출신 공무원을 영입하면 법적 자문, 금융당국의 규제 움직임 등에 대응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이다. 가상자산 업계 외에도 토스 등 핀테크에서도 관련 인력 수요가 상당한 상황이다. 가상자산 업계 관계자는 “업권법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면 금융당국 출신 인사를 영입하려는 움직임이 더 많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2021-12-07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