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유로존 대부분 국가 상향 조정
“韓 고금리·무역적자 영향에 하향”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1/31/SSC_20230131180821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1/31/SSC_20230131180821.jpg)
IMF는 31일 이 같은 내용의 ‘세계경제전망’(WEO)을 발표했다고 기획재정부가 전했다. 직전 발표인 지난 10월에 전망치를 내놓을 때까지만 해도 IMF는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2.0%로 전망, 주요 기관 중 유일하게 2%대를 유지했지만 이번 발표에서 전망치가 하향됐다.
한국 성장률 조정폭은 0.3%에서 -0.6%로 0.9% 포인트를 하향시킨 영국이나 3.7%에서 2.6%로 1.1% 포인트를 깎은 사우디아라비아보다는 적지만 주요국 대부분의 성장률 전망이 상향 조정된 데 비하면 쓴 소식이다. IMF의 올해 성장률 전망을 국가별로 보면 미국이 1.0%에서 1.4%로, 유로존은 0.5%에서 0.7%로 상향 조정됐다. 중국의 올해 성장률은 4.4%에서 5.2%로 석 달 만에 0.8% 포인트 올렸다.
이날 한국을 방문한 기타 고피나스 IMF 수석부총재는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하향 전망한 데 대해 “전반적인 금융 여건의 긴축, 전 세계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금리가 계속 오르면서 올해 말까지 소비 쪽에 조금 영향을 줄 것 같다”며 “무역수지가 악화되고 대외 쪽 수요가 줄어든 점, 주택 부문의 둔화 등에서 취약성이 있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올해 상반기 성장이 둔화됐다가 하반기에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한 뒤 내년에도 성장세를 계속 이어 갈 것”이라며 “중국 경제의 회복이 한국에도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IMF는 주요국 성장률에 대해 “미국은 견조한 내수, 유로는 에너지 도매가 하락, 일본은 지속적인 완화적 통화·재정 정책의 영향으로 소폭 상향했다”고 밝혔다. 낮은 백신 접종률과 부족한 의료시설에 따른 중국의 경제회복 제약 가능성,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경제 분절화와 같은 경기 하방 위험이 여전하다는 진단도 제시했다.
2023-02-01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