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도 연내 출시…한국어 GPT 서비스 속속 등장

카카오도 연내 출시…한국어 GPT 서비스 속속 등장

김민석 기자
김민석 기자
입력 2023-02-10 10:37
수정 2023-02-10 10: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홍은택 “우리가 잘 할 수 있는 버티컬 서비스에 집중”
카카오, 전년비 매출 15.8%↑, 영업이익은 2.4%↓

카카오가 올해 안으로 초거대 인공지능(AI) 언어 모델 ‘코(Ko)GPT’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 출시를 발표했다. 앞서 네이버가 상반기 ‘서치GPT’ 출시를 예고한만큼, 세계 최고 수준의 한국어 GPT(Generatvie Pretrained Transformer) 기술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가 올해 속속 등장하는 셈이다.
이미지 확대
김일두 카카오브레인 대표
김일두 카카오브레인 대표 <이 기사는 2023년 1월 22일 12시 01분 이후 사용할 수 있습니다>
<YONHAP PHOTO-1777>(성남=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김일두 카카오브레인 대표가 19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 카카오브레인에서 연합뉴스 취재진과 인터뷰하고 있다. 2023.1.22
pdj6635@yna.co.kr/2023-01-22 12:00:02/
<저작권자 ⓒ 1980-2023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홍은택 카카오 대표는 10일 콘퍼런스콜에서 “카카오는 글로벌 기업과 같은 선상에서 경쟁하기보다 카카오브레인이 가진 한국어 특화 AI 모델인 코GPT를 활용, 우리가 잘 할 수 있는 버티컬 AI 서비스에 집중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는 초거대 언어 모델을 카카오가 제공하는 선물하기, 지도, 상거래, 택시 등 다양한 서비스에 접목하겠다는 의미다.

다만 카카오 관계자는 마이크로소프트(MS)의 빙과 네이버의 서치GPT 등처럼 검색 서비스에 코GPT를 적용할지에 관해서는 “아직은 내부적으로 다양하게 검토중”이라며 가능성만 내비쳤다. 홍 대표가 “초거대 AI 모델은 혁신적인 아이디어에 의해 차별화하는 것이 아니라 모델의 크기가 품질을 좌우하고, 결과적으로 풍부한 자본과 기술력을 지닌 글로벌 기업에 절대적으로 유리한 싸움”이라고 언급한만큼, 검색 시장에서 글로벌 검색 엔진, 네이버와 직접 경쟁은 피하고 카카오가 ‘잘 하는 것’에 차별화를 꾀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미지 확대
미국 오픈AI의 챗봇 ‘챗GPT’은 전세계를 AI 경쟁의 장으로 몰아 넣었지만, 한국어 서비스엔 취약하다. 미국의 자료와 국내 기업에 비해 부족한 한국어 데이터를 학습해 이를 기반으로 답변을 도출하기 때문이다. 구글, MS 같이 각국 언어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글로벌 기업이 국내 기술 기업보다 나은 한국어 서비스를 제공하긴 매우 어렵다. 예컨대 네이버의 초거대 AI 언어모델 ‘하이퍼클로바’는 오픈 AI의 GPT-3보다 한국어 데이터를 6500배 이상 학습했으며, 카카오브레인이 GPT-3 기반으로 만든 코GPT는 2000억개 토큰(언어단위)의 한국어 데이터를 바탕으로 구축됐다.

한편 카카오는 이날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이 7조 1071억원, 영업이익은 5805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15.8%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2.4% 줄었다. 순이익은 1조 212억원으로 2021년에 비해 38% 감소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