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22 국민 삶의 질 보고서 발표
국민 삶 만족도 OECD 38개국 중 36위
국내 관광여행일수는 6.58일로 확 줄어
![OECD 주요국 삶의 만족도](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2/20/SSC_20230220180719_O2.jpg)
![OECD 주요국 삶의 만족도](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2/20/SSC_20230220180719.jpg)
OECD 주요국 삶의 만족도
통계청은 20일 발표한 ‘2022 국민 삶의 질 보고서’에서 2019~2021년 기준으로 집계한 주관적 삶의 만족도가 10점 만점에 5.9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5.9점은 OECD 38개국 가운데 36위에 해당하는 낮은 점수다. 우리보다 삶의 만족도가 낮은 나라는 콜롬비아(5.8점)와 튀르키예(4.7점) 두 곳뿐이었다. 세계에서 삶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나라는 핀란드(7.8점)였고 덴마크·아이슬란드(7.6점), 스위스(7.5점), 네덜란드·룩셈부르크·스웨덴·노르웨이(7.4점) 등 유럽 국가가 상위권을 휩쓸었다.
2021년 연간 기준으로 집계한 삶의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6.3점으로 2020년 6.0점에서 소폭 올랐다. 다만 가구소득이 월 100만원 미만인 저소득층의 만족도는 5.5점으로 평균을 밑돌았다. 소득의 많고 적음과 한국인의 삶의 만족도가 비례 관계에 있다는 의미다.
![아동학대피해 경험률](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2/20/SSC_20230220180721_O2.jpg)
![아동학대피해 경험률](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2/20/SSC_20230220180721.jpg)
아동학대피해 경험률
코로나19 확산으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아동학대 피해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만 0~17세 아동·청소년 가운데 아동학대 피해 경험률은 10만명당 502.2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인구 10만명당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망자 수(자살률)는 2021년 기준 26.0명으로 전년보다 0.3명 늘었다. 특히 70대(41.8명)부터는 인구 10만명당 자살자가 40명을 넘었고, 80세 이상에서는 61.3명으로 급격히 치솟았다.
다른 사람을 얼마나 믿는지를 평가하는 ‘대인 신뢰도’는 2020년 50.6%에서 2021년 59.3%로 높아졌다. 하지만 코로나19 확산 이전 66~73% 수준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코로나19 확산기에 감염으로 인한 불안과 외부 활동 제한으로 주변인과의 관계가 단절되면서 대인신뢰도가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반면 기관신뢰도는 2021년 55.4%로 2020년 48.3%에서 7.1% 포인트 증가했다. 16개 기관 중 의료계가 72.3%로 가장 높았고 교육계(69.1%), 금융기관(66.2%), 지자체(58.5%), 대기업(56.7%), 정부(56.0%), 군대(56.1%), 경찰·방송사(55.3%), 종교계(54.2%)가 뒤를 이었다. 국회는 34.4%로 신뢰도가 가장 낮은 기관으로 선정됐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