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간담회 하는 강구영 KAI 사장](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17/SSC_20230317180313_O2.jpg)
![기자간담회 하는 강구영 KAI 사장](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17/SSC_20230317180313.jpg)
기자간담회 하는 강구영 KAI 사장
강구영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사장이 17일 서울 영등포구 공군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KAI 제공
강 사장은 일각에서 제기된 KAI의 최대주주인 수출입은행의 지분 매각 가능성과 관련 “정부도 항공우주전력의 50% 이상을 납품하는 핵심 기업을 민간에 넘기는 것에 대해 회의적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무엇보다 임직원 90% 이상이 반대하는 만큼 임직원들과 입장을 같이할 것”이라고 말했다.
수출입은행은 KAI 지분의 26.4%를, 국민연금은 9.9%를 보유하고 있다. LIG넥스원 등이 KAI 인수를 원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업계에서는 KAI의 매각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강 사장은 “(KAI를 인수하려는) 수요가 있는 것은 인정하지만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투입되고 실패 위험성도 큰 항공우주 사업이 민간 기업에 넘어간다면 감당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반대 이유를 설명했다.
강 사장은 “올해 수주 4조 5000억원과 매출 3조 8000억원을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또 “향후 5년간 제품 개발에 7100억원, 새로운 플랫폼 개발에 4600억원, 미래 신기술 확보에 3300억원 등 총 1조 50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했다.
강 사장은 이와 함께 “KAI의 도심항공교통(UAM) 개발과 뉴스페이스 투자가 경쟁업체보다 4∼5년 늦었다”며 “연구개발(R&D)에 집중적으로 투자해 30년 후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성장동력을 확보함으로써 ‘퀀텀점프’를 이루겠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