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은행 부실에 금값 ‘역대 최고’… “美긴축 완화 땐 더 오를 것”

글로벌 은행 부실에 금값 ‘역대 최고’… “美긴축 완화 땐 더 오를 것”

민나리 기자
민나리 기자
입력 2023-03-22 00:36
업데이트 2023-03-22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거래소 금 1g당 8만 3490원
금 ETF·ETN 수익률도 고공행진

이미지 확대
서울 종로구 삼성금거래소에 진열돼 있는 골드바 사진.
서울 종로구 삼성금거래소에 진열돼 있는 골드바 사진.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값이 치솟고 있다.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스위스 크레디트스위스(CS) 파산 등 전 세계 은행권 부실이 도마에 오르며 안전자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서다.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KRX 금 시장에서 1㎏짜리 금 현물의 1g당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3.64%(293 0원) 오른 8만 3490원에 거래를 마쳤다. 2014년 3월 24일 KRX 금 시장이 거래를 시작한 이래 가장 높은 가격인데, 종전 금값이 제일 높았던 건 코로나19 시기인 2020년 7월 28일로 장중 8만 2970원까지 갔다가 8만 100원에 마감했다. 뉴욕 상품거래소에서도 4월 인도분 금 선물 가격이 지난 20일 온스당 장중 2014.9달러(약 264만원)를 기록한 뒤 1982.8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이는 지난해 4월 이후 최고가다.
이미지 확대
금값이 오르면서 관련 상장지수펀드(ETF)와 상장지수증권(ETN)의 수익률도 고공행진하고 있다. 이달 9일부터 20일까지 ACE골드선물레버리지(합성H)(17.93%), KODEX골드선물(9.69%), TIGER금은선물(9.03%), TIGER골드선물(9.68%) 등 국내 금 ETF 가격은 일제히 상승했다. 같은 기간 KB레버리지금선물(H)(20.65%), QV레버리지금선물(H)(18.86%), TRUE레버리지금선물(16.76%) 등 ETN의 수익률도 상당하다. 같은 기간 코스피는 1.64% 하락했다.

금값은 글로벌 금융위기 때 강세를 보인다. 리먼 사태가 발생한 2008년 말부터 상승세를 타기 시작한 금값은 2011년까지 오름세를 유지했는데, 온스당 800달러대에서 1800달러대까지 치솟았다.

전문가들은 금값이 추가로 오를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오광영 신영증권 연구원은 “경기 침체 우려가 상존하고 있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양호한 성과를 보여 온 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면서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긴축 통화정책 기조가 변하면 달러 강세 완화로 국제 금 가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판단했다.

민나리 기자
2023-03-22 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