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체율도 2년 반 만에 최고치
저소득층에서 0.5%P 치솟아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08/SSC_20230508181542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08/SSC_20230508181542.jpg)
8일 한국은행이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영업자 소득 수준별 대출 잔액·연체율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기준 전체 자영업자의 전 금융기관 대출 잔액은 1019조 8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전 분기(1014조 2000억원)에 이어 1000조원을 넘어서며 최고치를 경신했다. 코로나 대유행 직전인 2019년 4분기 684조 9000억원과 비교하면 48.9% 늘어난 수치다. 코로나에 경기침체까지 겹치면서 매출이 감소했고, 금리 상승으로 이자 부담이 커진 탓에 빚으로 버틴 자영업자들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도 오르는 추세라는 점이다. 전체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3분기 0.19%에서 4분기에는 0.26%로 3개월 사이 0.07% 포인트 뛰었다. 2020년 2분기 0.29% 이후 2년 반 만에 가장 높다. 금융권에서는 코로나 사태 이후 소상공인에 대한 대출 원금·이자 상환 유예 조치를 해 왔는데, 최근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하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원금과 이자상환 유예 지원은 오는 9월 종료될 예정이기 때문에 부실 규모가 갑자기 증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자영업 대출자 연체율을 소득별로 나눠 봤을 때 저소득층(하위 30%)의 연체율 증가가 두드러진다. 지난해 3분기 0.7%에서 4분기 1.2%로 0.5% 포인트 높아졌다. 이는 코로나 사태 전인 2019년 4분기(1.3%) 이후 3년 만에 최고 기록이다. 고소득(소득 상위 30%), 중소득(소득 30∼70%) 자영업자의 연체율은 지난해 4분기 각각 0.7%와 1.3%이지만 전 분기와 비교해 0.2% 포인트, 0.1% 포인트 올라 증가폭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저소득 자영업자의 경우 2금융권 대출이 급증하고 있다는 점도 눈에 띈다. 지난 3년간 저소득 자영업자의 상호금융대출액은 2.3배, 대부업을 포함한 기타 금융기관의 대출액은 2.92배까지 치솟았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아직 크게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라면서도 “경기 상황이 좋지 않기 때문에 부실 가능성에 대해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3-05-09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