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종에 이어 롯데케미칼 ‘기업별’ 상생협약 첫 체결

조선업종에 이어 롯데케미칼 ‘기업별’ 상생협약 첫 체결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3-09-26 15:56
수정 2023-09-26 15: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지난 12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반튼주 칠레곤에 있는 롯데케미칼 석유화학단지 조성사업 공사장을 찾아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서울신문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지난 12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반튼주 칠레곤에 있는 롯데케미칼 석유화학단지 조성사업 공사장을 찾아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서울신문
지난 2월 조선업종에 이어 석유화학업계에서 노동시장 이중구조를 해소하기 위한 상생협약이 체결됐다.

고용노동부와 롯데케미칼은 26일 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에서 ‘석유화학산업 상생협력 확산을 위한 공동선언식’을 개최했다.

조선업계에서 노동시장 이중구조를 해소하기 위해 체결한 상생협약이 다른 업종으로 확산된 첫 사례다. 더욱이 롯데케미칼은 ‘기업 단위’ 최초 상생모델이라는 점에서 확장성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노동시장 이중구조는 기업 규모와 고용 형태 등에 따라 근로조건과 임금 격차가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석유화학업계는 24시간 설비가 가동되는 ‘장치산업’으로 하도급 비중이 높고 근로조건 격차로 협력사 인력난이 심각한 대표적 업종으로 이번 협약이 이중구조 개선의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공동선언문에 따르면 롯데케미칼은 협력업체 근로자 복리후생·근로조건 개선과 전문성·생산성 제고, 공정한 거래관계 구축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협력업체는 자사 근로자의 근로조건, 생산성 향상 및 연구개발 등을 지원한다. 고용부는 원·하청이 마련한 실천과제가 원활히 이행될 수 있도록 지원키로 했다. 구체적인 협력과제는 내달 원·하청과 전문가가 참여하는 상생협의체에서 논의할 예정이다. 고용부는 롯데케미칼이 원·하청뿐 아니라 석유화학 원료를 사용하는 중소플라스틱 업체와 업종간 상생에도 나설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정식 고용부 장관은 “최저임금 인상과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등 단편적 처방과 단순히 사용자 범위를 확대하는 노동조합법 개정은 현장에 큰 혼란을 초래할 뿐”이라며 “상생과 연대의 생태계 조성을 위한 노사간 자율적 협력이 이뤄질때 이중구조 해결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