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매매 상승폭은 유지된 반면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은 상승폭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부동산원이 2일 발표한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지난달 30일 기준)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전주와 동일하게 0.07% 올라 24주 연속 상승세를 지속했다. 수도권(0.08%)과 지방(0.01%)은 전주보다 상승폭을 줄여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폭은 전주(0.05%)비해 다소 줄어든 0.04%로 나타났다.
이미지 확대
서울 아파트 전경. 서울신문 DB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서울 아파트 전경. 서울신문 DB
부동산원은 서울 아파트 매매 시장에 대해 주거 여건이 양호한 선호단지에서 일부 상승 거래가 간헐적으로 있었지만, 매도인과 매수인 간 거래희망가격 차이로 전반적인 관망세가 나타났다고 봤다.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보합을 기록한 노원구와 동작구를 제외한 나머지 23개구가 모두 올랐다. 서대문구(0.04→0.09%), 용산구(0.14→0.19%), 동대문구(0.11→0.18%) 등은 상승폭을 키웠으나 구로구(0.08→0.03%), 성동구(0.16→0.09%), 영등포구(0.14→0.10%) 서초구(0.06→0.02%) 등은 상승폭이 감소했다.
반면 서울 아파트의 전셋값은 전주(0.18%)보다 0.19% 오르며 상승폭이 커졌다. 강남구가 전주(0.07%)보다 0.08% 올랐고 송파구도 같은 기간 0.18%에서 0.22%로 상승했다.
부동산원은 “금리 인상 우려 및 매매시장의 불확실성 등으로 실수요자들의 전세 선호가 지속되는 가운데, 역세권 및 대단지 등 정주여건 양호한 지역 위주로 임차수요 이어지며 상승폭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윤수경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