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감기·금리인하·ETF…비트코인 거침없이 하이킥

반감기·금리인하·ETF…비트코인 거침없이 하이킥

김동현 기자
김동현 기자
입력 2024-02-10 11:33
업데이트 2024-02-10 11: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장중 4만 8000달러 뚫더니 4만 7000달러 마감
이더리움 등 주요 암호화폐도 상승세 이어나가
반감기 두 달 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 금융 환경 개선

이미지 확대
미국 증시 상승에 비트코인도 올라
미국 증시 상승에 비트코인도 올라 가상화폐 대장주 비트코인이 7일(현지시간) 미 증시 상승에 힘입어 껑충 뛰며 4만4천달러선을 회복한 8일 오전 서울 서초구 빗썸 고객센터 전광판에 비트코인 가격이 표시돼 있다.
연합뉴스
가상화폐 대장주 비트코인 가격이 거침 없는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장중 한 때 4만 8000달러를 뚫었던 비트코인은 이날 4만 7000달러선을 회복하며 강세를 이어갔다. 비트코인 반감기가 다가오고 있는 상황에서 금리 인하게 대한 기대감과 투자자금 유입 가능성 확대가 가격을 밀어올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현지시간) 미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미 동부 기준 이날 오후 6시 30분 현재(서부 오후 3시 30분) 비트코인 1개당 가격은 24시간 전보다 4.37% 상승한 4만 7198달러(6291만원)에 거래됐다.

비트코인이 4만 7000달러선에 오른 것은 지난달 11일 이후 처음이다. 장중에는 4만 8000달러선을 뚫고 4만 8200달러대까지 상승하기도 했다.
이미지 확대
ETF 승인 후 비트코인 미래는
ETF 승인 후 비트코인 미래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의 상장을 승인한 11일 오전 서울 서초구 빗썸 고객센터에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화폐 시세 현황이 표시되고 있다.
연합뉴스
미 증권거래위원회(SEC)가 현물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를 승인한 다음 날인 지난달 11일 비트코인은 4만 9000달러를 일시 찍은 뒤 하락한 바 있다.

그러나 지난 7일과 8일 각각 4만 4000달러와 4만 5000달러선을 회복한 뒤 단숨에 4만 7000달러대까지 오르며 상승 폭을 넓히고 있다. 이번 주 상승 폭은 약 10%에 달한다.

같은 시간 시가총액 2위 이더리움도 3.23% 오른 2492달러(332만원)를 나타냈다. 비트코인 상승은 우선 오는 4월로 예상되는 반감기를 앞두고 랠리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비트코인 채굴량은 4년마다 절반씩 줄어드는데, 지난 3차례 있었던 반감기 때마다 비트코인 가격이 급등했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비트코인 ETF 승인’ 해킹 의한 가짜뉴스로 확인
‘비트코인 ETF 승인’ 해킹 의한 가짜뉴스로 확인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소셜미디어 엑스(X 옛 트위터)계정이 해킹당해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가 승인 됐다’는 보도가 해킹에 의한 가짜뉴스로 밝혀진 10일 서울 서초구 빗썸 고객지원센터 전광판에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의 실시간 거래가격이 표시돼 있다.
연합뉴스
주요 암호화폐의 상승세에는 금융시장의 투자환경 개선도 한몫을 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가 시기를 결정하지 않았지만 연내 금리 인하를 본격화 할 것으로 예고하고 있고, 비트코인의 경우 ETF 허가가 떨어지면서 투자자금 유입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스코프마켓의 조슈아 마호니 수석 시장분석가는 “투자자들은 약 두 달 앞으로 다가오는 반감기 이벤트에 대비하고 있다”며 “그동안 반감기 이후 패턴을 감안할 때 투자자들은 추세 유지를 전제로 올해 호황을 기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 자산운용사 디파이언스 ETF의 실비아 자블론스키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비트코인의 가격 상승은 현물 ETF로의 자금 유입과 반감기에 대한 낙관론, 일반적인 시장 모멘텀 등에 기인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과거 비트코인과 기술주 사이에 유사점이 있었다”며 “낮은 금리, 인플레이션 하락, 수익 성장, S&P 500과 같은 지수의 획기적인 기록 수준은 확실히 위험 자산에 대한 심리를 개선한다”고 덧붙였다.
김동현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