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제적이고 과감한 미래 기술 투자와 함께 유기적 협력 모델을 확산해 K-바이오 업계의 지속가능한성장 모멘텀을 확보해 나가겠습니다.”
이미지 확대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가 지난 15일 조선 팰리스 서울 강남 호텔에서 열린 국내 바이오 산업 동반 성장을 위한 세미나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가 지난 15일 조선 팰리스 서울 강남 호텔에서 열린 국내 바이오 산업 동반 성장을 위한 세미나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제공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는 지난 15일 조선 팰리스 서울 강남 호텔에서 열린 국내 바이오 산업 동반 성장을 위한 세미나에서 ‘함께하는 K-바이오의 미래’라는 제목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현재 사업 현황과 미래 기술 투자 계획을 소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16일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따르면 올해 처음으로 열린 이번 행사는 국내 바이오 벤처를 비롯한 업계 관계자와 함께 바이오산업의 발전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삼성바이오의 고객사인 지아이이노베이션과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를 비롯한 국내 31개 바이오 벤처 및 벤처캐피털 관계자 등 60여명이 참석했다.
존 림 대표는 삼성물산, 삼성바이오에피스와 공동 조성한 약 1700억원 규모의 라이프 사이언스 펀드와 송도 제2 바이오 캠퍼스에 지어질 오픈이노베이션(개방형 협력) 센터 등을 통해 국내 업계의 신규 기술 확보와 성장을 위해 지속적인 투자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삼성바이오와 국내 바이오 기업 간 전략적 파트너십 사례와 국내 바이오산업과 바이오 벤처의 성장을 위한 펀드의 역할 등에 대한 발표가 진행됐다.
존림 대표는 “국내 바이오 기업들이 함께 모여 K-바이오의 발전 방안을 논의할 수 있어 기쁘다”면서 “앞으로도 이 세미나가 국내 업계의 미래 발전 방안을 논의하는 교류의 장이 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김희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