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현장 아닌 ‘앱 예약’ 영향
서울 주요 상권 작년보다 3.9%↓
방영 직후 ‘파인다이닝’ 열풍에도
지난해 대비 이용자는 9.5% 줄어
넷플릭스 요리 서바이벌 프로그램 ‘흑백요리사’ 열풍에 등장 식당들을 찾는 발걸음은 2배 이상 급증했지만 주변 상권으로 열기가 퍼져 나가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물가로 지갑이 얇아진 데다 애플리케이션(앱) 예약이 보편화되면서 현장에서 대기하며 주변 가게들을 둘러보는 일이 현저히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31일 서울신문이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와 함께 ‘흑백요리사’에 등장한 음식점 27곳의 이용 고객 수를 분석해 보니 프로그램 방영 직전인 지난달 1~14일과 비교해 방영 후인 이달 9~22일 2주 동안 출연자들이 운영하는 식당 이용자 수가 2.4배(137%)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0월 9~22일과 비교하면 약 2.8배(179%) 늘어난 수치다.
그러나 ‘흑백요리사’의 폭발적인 인기가 주변 골목 상권에까지 미치지는 못했다. 서울 내 주요 상권 20곳의 요식업과 편의점 업종 이용자 수를 분석해 보니 ‘흑백요리사’ 운영 매장 입지 여부와 이용자 수 사이의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오히려 경기 불황으로 지난해 대비 주요 상권 이용자 수는 3.9% 줄었다.
신한카드 연구소는 “매장이 여러 상권에 흩어져 있고, 줄을 서서 기다리던 과거와 달리 예약 플랫폼을 이용하다 보니 예약자들만 방문하게 되면서 (‘흑백요리사’ 식당 여부가) 상권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방영 직후 ‘파인다이닝’ 식당에 대한 관심은 높아졌지만 역시 고물가를 이기진 못했다. 파인다이닝(호텔을 제외한 국내 미쉐린가이드 1스타 이상 식당 22곳) 식당 이용 고객은 방영 후 39.7% 늘었다. 하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이용 고객은 9.5%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최고급 식당을 뜻하는 파인다이닝은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해외여행 대신 소비력이 몰려 20대를 중심으로 인기를 끌었다. 그러다 지난해 말부터 시작된 고물가에 발길이 끊겼지만 프로그램에 참가한 ‘백수저’ 요리사들이 운영하는 파인다이닝 식당을 중심으로 다시 열풍이 불고 있다.
세대별로 보면 상대적으로 소비력이 높은 40대와 60대의 이용률은 각각 6.9%, 33.3% 증가했지만 20대는 26.7% 감소했다.
연구소는 “고물가와 경기 불황의 영향으로 지난해 대비 올해 미쉐린가이드 식당 이용 고객 수는 감소했으나 ‘흑백요리사’ 방영 전후를 비교하면 관심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2024-11-01 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