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 같은 혁신적 모습 보여야”
경총 “적극적인 투자 확대” 기대감
삼성물산·제일모직 부당합병과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에 관여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것과 관련해 검찰이 상고 여부를 검토한다고 밝히자 5일 정치권과 재계에서 반대와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이 회장이 2016년 ‘국정 농단’ 사태부터 자신을 옭아맸던 사법 족쇄가 9년 만에 사실상 풀리며 한미일 인공지능(AI) 동맹을 구체화하는 만큼 혁신의 기회를 줘야 한다는 것이다.5선의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검찰도 반성할 것 반성하고 이재용 상고하지 말라’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박 의원은 이 글에서 “1심에 이어 2심에서도 이 회장의 무죄 선고는 침체된 우리에게 이재용·올트먼·손정의 ‘AI 3국 동맹’, ‘스타게이트’의 희망을 안겨 준다”며 “물론 이 회장도 딥시크의 혁신의 모습을 국민에게 보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제 검찰도 신중한 판단으로 상고를 재고하길 바란다. 검찰의 무리수는 검찰 자신에게 부메랑이 된다”고 재차 강조했다.
전날 이 회장은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과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2시간가량 만나 730조원 규모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협력을 논의했다. 스타게이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식 다음날 발표한 초대형 AI 투자 프로젝트다. 중국발 ‘딥시크 쇼크’가 글로벌 AI 시장을 뒤흔들자 한미일 AI 동맹의 속도가 빨라지는 모습이다.
업계 관계자도 “손 회장이 한국 사정에 밝다고 알려진 만큼 이 회장이 무죄가 아니었으면 전격 회동에 참여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 측도 지난 3일 “AI, 반도체 등 첨단 기술의 글로벌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삼성전자가 보다 과감하고 적극적인 투자와 연구개발을 통해 세계 시장을 선도하고 국가 경제 발전에 매진해 주길 바란다”고 기대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2025-02-06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