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경성 코트라 사장이 지난 30일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열린 ‘2025 아프리카지역 무역투자확대전략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코트라 제공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지난달 30일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아프리카지역본부 8개 무역관장들이 참여한 가운데 무역투자확대전략회의를 개최하고 아프리카 수출 지원 전략을 점검했다고 1일 밝혔다.
코트라에 따르면 최근 아프리카의 수출 시장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지난해 한국의 아프리카 지역 수출 비중은 전체 1.4%에 그쳤다. 하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두 자릿수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면서 수출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아프리카는 현재 인구 12억 5000만명으로 2050년 25억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25세 미만 인구가 전체 59%를 차지할 정도로 인구 구조가 젊다. 때문에 식품과 소비재 등 다양한 산업에서 수요가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코트라는 한국 기업의 아프리카 전략시장 진출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전력기자재, 조선, 의료바이오 등 주요 수출 품목을 중심으로 관련 기관과 ‘원 팀 코리아’ 체계를 구축해 수출 지원을 강화한다.
최근에는 단순한 원조 기반의 전통적 공적개발원조(ODA) 접근에서 확장해 개발협력이 수출과 현지화로 이어지는 ‘연계형 수출 모델’을 구축했다. 이 모델을 활용하면 아프리카 각국의 정책 수립 단계에서부터 한국 기업의 참여 기반을 확보하고, 민간 기업의 후속 진출까지 연결할 수 있다.
강경성 코트라 사장은 “글로벌 경제질서 재편 속에서 아프리카는 기회의 땅”이라며 “이제는 아프리카를 잠재시장이 아닌 대한민국 수출의 돌파구이자 주요 전략시장으로 개척해야 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