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블릿PC, IT제품 평정하나

태블릿PC, IT제품 평정하나

입력 2010-10-06 00:00
수정 2010-10-06 00: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갤럭시탭 등 출시 임박… 일부 전자책단말기 단종

애플의 ‘아이패드’와 삼성전자 ‘갤럭시탭’ 등 태블릿PC 화제작들의 국내 출시가 다가오면서 전자책 단말기를 찾는 발길이 끊겼다.

전자책 생산을 아예 중단하거나 중단을 검토하고 있는 업체들도 있다. 노트북과 넷북 시장은 아직 위기감이 드러나지 않았지만 태블릿PC에 상당한 영토를 빼앗길 것을 각오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5일 전자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이달 중순쯤 갤럭시탭의 국내 출시 행사를 연다. 애플 아이패드 역시 다음달 출시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국내에서도 본격적인 태블릿PC 시대가 열리게 된다.

이미지 확대
시장조사업체 아이서플라이는 태블릿PC 세계 시장이 올해 1290만대에서 2012년 5040만대까지 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태블릿PC의 등장에 따라 가장 큰 타격을 받은 제품은 전자책 단말기. 지난달 갤럭시탭을 공개한 삼성전자는 전자책 단말기 ‘SNE-60’의 생산을 사실상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지성 삼성전자 사장은 “전자책은 태블릿PC나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의 하나가 될 것”이라면서 “(단말기) 하드웨어도 태블릿PC로 대체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른 전자책 단말기들은 10만~20만원대로 가격이 하락했지만 태플릿PC의 대기수요 때문에 매출이 크게 줄었다. 한 업체 관계자는 “지난 상반기까지만 하더라도 단말기가 제법 팔렸지만 갤럭시탭 출시 소식이 나온 하반기 이후에는 거의 팔리지 않고 있다.”고 귀띔했다.

현재 출시된 전자책 단말기들은 흑백 화면으로 전자책 읽기만 가능하다. 반면 태블릿PC는 액정표시장치(LCD) 디스플레이로 전자책뿐만 아니라 온갖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함께 즐길 수 있다. 전자책이 눈의 피로가 적고 전력소비가 거의 없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태블릿PC의 등장에 따라 시장의 존립이 흔들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까닭이다.

노트북과 12인치 이하 넷북은 아직 태블릿PC ‘강진’의 영향권에서 벗어나 있다. 되레 노트북과 넷북이 기존 데스크톱 시장을 잠식하고 있다. G마켓에 따르면 전체 PC 중 데스크톱과 노트북·넷북 비중은 지난해 9월 ‘55대 45’에서 최근 ‘35대 65’로 역전됐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국내 노트북 판매량은 지난해 1분기 20만대에서 올 1분기 45만대, 넷북은 같은 기간 6만대에서 8만 5000대로 확대됐다.”면서 “키보드가 들어가는 넷북 등은 태블릿PC와 근본적인 차이가 있는 만큼 갑작스럽게 수요가 축소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불안하기는 마찬가지다. 지난해 말 50만원 이상 호가하던 넷북 가격이 최근에는 20만원대까지 떨어졌다. HP와 삼성전자, 아수스텍 등 북미시장의 노트북 가격 역시 최근 20~30% 정도 하락했다. 태블릿PC의 공세에 미리 저가 전략으로 선제대응하고 있는 셈이다.

최근 시장조사기관인 포레스트 리서치는 미국 PC시장에서 태블릿PC의 비중이 올해 6%에서 2014년 23%까지 급성장하면서 2012년에는 넷북, 2013년에는 데스크톱을 뛰어넘을 것으로 관측했다.

업계 관계자는 “태블릿PC는 가벼우면서도 인터넷과 이메일 검색이 용이하다는 면에서 넷북 시장을 빠르게 잠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두걸·류지영기자 douzirl@seoul.co.kr
2010-10-06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