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20%→내년 최대 55% 단통법 영향 보조금 경쟁 줄어
내년도 스마트폰 시장의 열쇳말은 ‘중저가폰’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시행으로 보조금 경쟁이 잦아들고 중저가폰에 대한 고객 반응이 조금씩 나타나고 있다는 게 이유다.3일 KT경제경영연구소가 발표한 ‘2015년 정보통신기술(ICT) 10대 주목 이슈’ 특집 보고서에 따르면 내년은 ‘경쟁 패러다임의 새로운 전환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내년은 중저가폰이 프리미엄 스마트폰과 함께 주류의 한 축이 될 수 있을지를 가늠할 중요한 시기가 될 것으로 연구소는 분석했다.
시장분석기관인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 예측을 인용했는데 2011년 20.4%에 불과했던 중저가폰 비중은 내년에 52~55%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국내 시장을 노리는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의 활약도 관전 포인트다.
연구소 관계자는 “선택할 수 있는 중저가폰의 범위가 넓어지는 등 중저가폰에 대한 고객 접근성이 높아졌다”면서 “중저가폰 기기의 성능 자체도 소비자가 사용하기에 충분한 수준으로 상향 평준화됐다”고 설명했다.
단통법의 영향도 크다. KT경제경영연구소의 중저가폰 고객 요구 연구결과를 들여다보면 고객의 51.6%가 중저가폰 구매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불법 보조금이 차단된 환경에서는 20.1%가 당장 중저가폰을 구입하겠다고 응답했다.
다음카카오의 카카오톡과 네이버의 라인이 제2의 플랫폼 경쟁을 할 것이라는 예측도 흥미롭다. 이 밖에도 연구소는 ▲스마트 미디어 ▲클라우드 컴퓨팅 ▲중국 ICT 시장 ▲사물인터넷(IoT) ▲스마트홈 ▲모바일 헬스케어 ▲O2O(online to offline) ▲스마트워치·개인서비스 로봇 등 차세대 스마트기기 등을 이슈로 꼽았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4-12-04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