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도 SKT·커버리지 LGU+·안정성 KT 1위

속도 SKT·커버리지 LGU+·안정성 KT 1위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20-12-30 17:42
수정 2020-12-31 02: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상용화 1년 반 5G 이동통신 품질 평가

커버리지·다운로드 속도 지역 격차 뚜렷
다중이용시설 10곳 중 4곳서 사용 불가
LTE 투자 소홀… 속도 더 느려져 ‘불만’
비대면 확산으로 올 영업익 3사 모두↑

이미지 확대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국내 이동통신 3사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비대면 확산으로 올해 호실적을 거둔 가운데 상용화된 지 1년 반이 넘은 5세대(5G) 통신 사업 성적에서는 개선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3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개한 하반기 통신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에 따르면 점검 대상인 전국 85개 시 주요 행정동에서 5G 통신 속도는 SK텔레콤이, 커버리지는 LG유플러스가, 접속 안정성에선 KT가 가장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5G 다운로드 속도에서 SK텔레콤(795.57Mbps)은 KT(667.48Mbps)와 LG유플러스(608.49Mbps)를 크게 앞섰다.

3사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690.47Mbps로 상반기보다 33.91Mbps 높아졌으나 대도시(730.84Mbps)와 중소도시(665.42Mbps) 간 격차가 컸다.

85개 시에서 5G 커버리지 면적이 가장 넓은 곳은 상반기 평가에 이어 이번 하반기 평가에서도 LG유플러스(6064.28㎢)가 차지했다. 이어 SK텔레콤(5242.68㎢), KT(4920.97㎢)가 뒤를 이었다. 서울은 전체 면적의 79%에서 5G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지만 6대 광역시는 20.4%, 78개 중소도시는 전체 면적의 8%만 가능해 지역 격차가 확연했다.

5G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백화점, 병원, 대학교, 기업 사옥, 관공서 등 주요 다중시설 수는 KT(4571개), SK텔레콤(3814개), LG유플러스(2072개) 순이다. 다중이용시설의 경우 전국 85개 시 4516곳 가운데 5G 이용 가능 시설은 전체의 61.8%(2792개)로 조사됐다. KT는 3사 중 유일하게 지역별 개통 기지국 수를 매일 업데이트해 공개 중이다.

다만 현재 소비자 대부분이 사용하는 롱텀에볼루션(LTE) 서비스 속도는 더 느려진 것으로 나타나 문제로 지적됐다. LTE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153Mbps로 전년(159.53Mbps)보다 느려졌다. KT가 지난해보다 11.5Mbps, SK텔레콤은 3.63Mbps 속도가 떨어졌다. 반면 LG유플러스는 전년보다 1.15Mbps 향상됐다. 통신사들이 5G 투자에 집중하면서 상대적으로 LTE 투자를 소홀히 한 것이다.

한편 이날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의 실적 추정치에 따르면 올해 이통 3사 모두 호실적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영업이익이 SK텔레콤은 12.39%, KT는 11.64%, LG유플러스는 9.75%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20-12-31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