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2호 자율주행차 인증 앞둔 ‘투싼 수소연료전지차’ 타보니
곡선 도로를 지나 가속 방지턱이 나타나자 자동차는 자연스럽게 감속을 했다. 운전자는 양손을 놓고 가속과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뗀 상태였다.![지난 10일 경기 화성시 남양읍 현대·기아차 남양연구소 내에서 ‘투싼 수소연료전지 자율주행차’(LMFC)로 자율주행을 하고 있는 모습. 운전석에 탑승한 현대차 연구원이 두 발을 페달에서 뗀 채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하며 설명을 하고 있다. 현대차그룹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03/14/SSI_20160314175849_O2.jpg)
현대차그룹 제공
![지난 10일 경기 화성시 남양읍 현대·기아차 남양연구소 내에서 ‘투싼 수소연료전지 자율주행차’(LMFC)로 자율주행을 하고 있는 모습. 운전석에 탑승한 현대차 연구원이 두 발을 페달에서 뗀 채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하며 설명을 하고 있다. 현대차그룹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03/14/SSI_20160314175849.jpg)
지난 10일 경기 화성시 남양읍 현대·기아차 남양연구소 내에서 ‘투싼 수소연료전지 자율주행차’(LMFC)로 자율주행을 하고 있는 모습. 운전석에 탑승한 현대차 연구원이 두 발을 페달에서 뗀 채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하며 설명을 하고 있다.
현대차그룹 제공
현대차그룹 제공
아직 연구 단계이기 때문에 현대차그룹 중앙연구소 지능형안전연구팀의 김진학 책임연구원이 운전하는 LMFC에 동승해 자율주행 기술을 체험했다. LMFC가 실제 도로 위에서 운행을 할 때에도 자율주행차를 운행한 연구원만 자율주행을 할 수 있다고 김 책임연구원은 설명했다. 차량의 돌발 상황이 어떻게 발생할지 모르기 때문이다. 이번 자율주행 체험은 남양연구소 내 도로에서 이뤄졌다.
자율주행의 실행은 생각보다 간단했다. 평소와 같이 운전하다 운전대 오른쪽에 위치한 ‘오토’ 단추를 누르자 곧바로 자율주행이 시작됐다. 자율주행 시작과 함께 조수석 앞에 위치한 모니터에 실시간으로 자율주행 중 일어나는 상황이 모두 데이터로 저장됐다. 이는 자율주행 기술에 사용되는 인공지능(AI) 데이터로 활용된다. 김 책임연구원은 “자율주행 시험운행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는 모두 저장돼 향후 기술 개발 과정에 사용된다”면서 “이때 얻어진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율주행 시 예기치 못한 돌발 상황이 발생할 때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시스템 내 AI가 스스로 판단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미리 입력해 놓은 목적지를 향해 차량 스스로 핸들이 돌아가며 차선을 따라 이동했다. 운전 중 앞에 다른 차량이 끼어들자 곧바로 속도를 줄여 앞차와의 간격을 유지했다. 운전자가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스스로 운행 환경에 대처하며 목적지를 향해 이동했다. 자율주행 기술에 놀라워하자 김 책임연구원은 “아직 모든 상황에 완벽하게 대처하는 수준은 아니다”라면서 “실제 도로 위에서 데이터를 축적해 그를 바탕으로 기술을 더 완벽하게 다듬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 책임연구원은 “정확한 수치를 말씀드릴 순 없지만 현재 현대차의 자율주행 기술 상당 부분이 자체 기술로 이뤄진 것”이라면서 “올해 안에 스스로 차선을 변경할 수 있는 수준까지 기술력을 키우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2016-03-15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