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 면세점 안방 지켰지만… ‘쩐의 전술’ 놓고 해석 분분

인천공항 면세점 안방 지켰지만… ‘쩐의 전술’ 놓고 해석 분분

김현이 기자
김현이 기자
입력 2023-03-21 02:35
수정 2023-03-21 07: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롯데, 지나치게 보수적인 입찰가
신라·신세계와 가격 20% 차이
높은 임대료 ‘승자의 저주’ 우려

이미지 확대
2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면세점. 2023. 3. 2 도준석 기자
2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면세점. 2023. 3. 2 도준석 기자
10년짜리 인천공항 면세 사업권 입찰에서 업계 1위 롯데면세점과 신라·신세계면세점 간의 입찰가 차이가 20%까지 벌어지면서 롯데의 베팅 실패냐, 신라·신세계의 승자의 저주냐를 놓고 해석이 분분하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번에 입찰을 진행한 DF1~5 가운데 입찰가가 가장 높았던 DF2(향수·화장품·주류·담배) 구역에 각사가 써낸 임대료는 신라가 9163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신세계가 최대 9020원을, 중국 면세업체 CDFG가 7833원을 제안했다. 롯데는 가장 낮은 7224원을 써내 탈락했다. 입찰 최저수용금액인 5617원대보다는 28% 높지만, 1위 업체인 신라보다는 20%가량 낮은 금액이다. 롯데는 입찰에 참여한 DF1, 5구역에서도 고배를 마시면서 오는 하반기 인천국제공항의 면세 사업장에서 철수하게 됐다.

이번 입찰은 10년짜리 장기 사업권인 데다 중국 CDFG의 참여로 입찰가 인플레이션이 예상됐던 만큼 롯데가 보수적인 가격을 써낸 것이 의외라는 반응이 나온다. 특히 인천공항 면세점은 2019년 매출 2조 6000억원으로 세계 매출 1위를 차지할 만큼 면세업계에 상징성이 있다. 해외여행객이 늘면 인천공항이 그간 신통치 않았던 면세업계의 수익 창구가 될 수도 있다. 국내 면세업계는 지난해까지 시내점 위주로 운영하며 ‘다이궁’(중국 보따리상)에 의존하면서 실적이 악화됐다. 롯데면세점은 지난해 3분기까지 누적 영업손실 533억원을 기록했다. 신라, 신세계 등도 연간 3~4조원대 매출을 냈지만 영업이익은 100억원이 채 되지 않는다.

롯데면세점은 “수익성 및 면세산업 전망을 고려해 사업권 입찰에 임했다”는 입장이다. 오히려 다른 업체들이 너무 높은 금액을 써냈다는 것이다. 인천공항 면세점은 비싼 임대료 탓에 이번 입찰 내내 이른바 승자의 저주 우려가 따라붙었다.

면세점 임대료는 인천공항 이용객 수와 연동해 계산하는데, 2019년 출국객 3500만여명을 기준으로 하면 신라와 신세계는 연간 약 4000억원가량의 높은 임대료를 인천공항공사에 내야 한다. 롯데는 앞서 2015년 인천공항 면세점 입찰 당시 높은 금액으로 사업권을 따냈다가 2018년 비싼 임대료 탓에 인천공항 면세점 일부 매장을 철수한 경험이 있다.

2023-03-21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