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 경영전략실 회의 주재
쿠팡에 실적 밀려 체질 개선 시급
경영전략실 질책하고 혁신 주문
“조직·시스템·업무방식 변화해야”
이마트 신규점 재개 등 전략 수정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1/24/SSC_20231124001530_O2.jpg)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1/24/SSC_20231124001530.jpg)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
23일 신세계에 따르면 정 부회장은 지난 20일 경영전략실 개편 후 첫 전략회의를 열고 “지금과는 다른 완전히 새로운 방식으로 변화하고 혁신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세계 경영전략실은 최고경영진의 의사결정을 안정적으로 보좌하고 계열사의 ‘성과 총력’ 체제를 안정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컨트롤타워로, 지난 17일 기존 전략실이었던 명칭을 바꾸고 핵심 임원을 교체했다. 업계에선 정 부회장의 그룹 장악력을 강화한 개편이었다고 평가하는 가운데 그가 공개적으로 과거 전략실이 일해 온 방식을 질책하고 ‘다 바꿔야 한다’는 의지를 강조한 것이다.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1/24/SSC_20231124001535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1/24/SSC_20231124001535.jpg)
이번에 정 부회장이 쇄신 키워드를 꺼내면서 신세계가 미래 성장 전략으로 ‘오프라인 본업 경쟁력 회복’에 방점을 뒀다는 해석이 나온다. 지난해 정 부회장이 신년사에서 ‘오프라인조차 잘하는 온라인 회사’를 제시하며 온라인 사업에 무게추를 둔 것에서 180도 방향 전환이다.
특히 이마트와 달리 온라인 유통 공룡으로 성장한 경쟁사 쿠팡은 소비 침체 속에서도 매 분기 성장을 이어 가고 있는 상황이다. 쿠팡의 성공 모델을 뒤따라가는 것으로는 미래 생존을 담보할 수 없는 만큼 전략 수정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마트는 올해 들어 3분기까지 연결기준 누적 영업이익이 386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0% 가까이 급감하는 등 실적 부진에 빠져 있다.
지난 9월 부임한 한채양 이마트 신임 대표가 최근 신규 출점 재개를 선언한 것도 이런 변화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신세계는 연말 이마트 서울 강동구 신규점, 복합쇼핑몰 스타필드 수원점 개장을 계획하는 등 오프라인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2023-11-24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