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성북구 길음동에 사는 회사원 김모(34)씨는 최근 전세금을 2000만원 올려 달라는 집주인의 요청에 고민하고 있다. 전세대출 한도가 꽉 차서 신용대출 받는 길을 알아보고 있다.
최근 1년 사이 서울의 아파트 전세금이 물가상승률의 3배 이상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강북권과 소형아파트의 오름세가 두드러져서 서민 가계의 고통이 심한 것으로 분석된다.
19일 한국은행과 국민은행의 주택전세 가격지수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는 106.5(지난 6월을 100으로 봤을 때)로 1년 전보다 14.5% 올랐다.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 4.2%의 3.45배에 달한다. 서울의 아파트 전세가격지수가 2001년 1월에 53.9였던 점을 고려하면 10년 동안 2배가량 뛰었다. 전세금은 강북권일수록, 소형일수록 오름 폭이 컸다. 강북권 아파트 전세금은 1년 전보다 15.3% 올라 강남권의 상승 폭(13.9%)보다 1.4% 포인트 높았다. 서울 시내에서 아파트 전세금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성북구(17.4%), 도봉·노원구(17.3%), 성동구(17.2%), 송파구(15.7%) 순이었다. 전세금 상승률 상위 5곳 중 4곳이 강북권이다.
갑자기 수천만원의 전세금을 확보하기 어려운 서민들은 빚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몰리고 있다. 주택금융공사가 신용보증을 제공하는 전세자금보증은 지난 8월부터 8000억원 이상 증가해 지난달 기준 총보증액이 8조 4731억원에 달했다. 한국은행은 지난 10월 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이 올 들어 최대 폭으로 늘어난 이유가 주택 신규 분양 증가 및 전세난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오달란기자 dallan@seoul.co.kr
최근 1년 사이 서울의 아파트 전세금이 물가상승률의 3배 이상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강북권과 소형아파트의 오름세가 두드러져서 서민 가계의 고통이 심한 것으로 분석된다.
19일 한국은행과 국민은행의 주택전세 가격지수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는 106.5(지난 6월을 100으로 봤을 때)로 1년 전보다 14.5% 올랐다.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 4.2%의 3.45배에 달한다. 서울의 아파트 전세가격지수가 2001년 1월에 53.9였던 점을 고려하면 10년 동안 2배가량 뛰었다. 전세금은 강북권일수록, 소형일수록 오름 폭이 컸다. 강북권 아파트 전세금은 1년 전보다 15.3% 올라 강남권의 상승 폭(13.9%)보다 1.4% 포인트 높았다. 서울 시내에서 아파트 전세금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성북구(17.4%), 도봉·노원구(17.3%), 성동구(17.2%), 송파구(15.7%) 순이었다. 전세금 상승률 상위 5곳 중 4곳이 강북권이다.
갑자기 수천만원의 전세금을 확보하기 어려운 서민들은 빚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몰리고 있다. 주택금융공사가 신용보증을 제공하는 전세자금보증은 지난 8월부터 8000억원 이상 증가해 지난달 기준 총보증액이 8조 4731억원에 달했다. 한국은행은 지난 10월 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이 올 들어 최대 폭으로 늘어난 이유가 주택 신규 분양 증가 및 전세난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오달란기자 dallan@seoul.co.kr
2011-12-20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