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층 이하 OK·최고 50층 NO… 높이에 희비 엇갈린 강남 재건축

35층 이하 OK·최고 50층 NO… 높이에 희비 엇갈린 강남 재건축

김동현 기자
김동현 기자
입력 2017-01-22 22:44
수정 2017-01-23 00: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반포·잠실 일대 市 심의 통과… ‘초고층’ 잠실 주공5단지 연기

서울 강남권 재건축이 높이에 따라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35층 이하 재건축을 추진하고 있는 아파트들은 심의를 통과한 반면 최고 50층을 요구한 단지들은 심의가 연기됐다.

서울시가 지난해 발표한 ‘한강변 기본관리계획’에서 제시한 최고 층수 35층 이하 원칙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 모습이다.

●서울시 최고 층수 원칙 재강조

건설업계와 서울시 등에 따르면 지난 18일 열린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에서 35층 이하 재건축을 추진하고 있는 서초구 반포 주공1단지(1·2·4주구)와 신반포3차·경남아파트, 송파구 잠실 미성·크로바, 진주 등이 심의를 통과했다.

반포 주공1단지와 신반포3차·경남아파트 등은 정비계획 변경안에 보류 결정을 내렸지만, 서울시는 소위원회를 열어 경미한 설계 변경 이후 다음달 초 통과시키기로 결정했다.

한강에 인접한 이들 단지는 강남권 내에서도 입지가 좋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최고 50층 재건축을 추진하고 있는 잠실 주공5단지는 심의가 연기됐다.

부동산 관계자는 “강남 재건축의 블루칩이라고 할 수 있는 반포와 잠실 일대 재건축이 잇달아 심의를 통과하면서 한동안 냉기가 돌던 강남 재건축 시장이 다시 움직일 수 있는 여건이 됐다”고 설명했다.

●“이익환수제 유예 종료 전 추진”

이로써 반포 주공1단지는 5748가구, 신반포3차·경남아파트는 2996가구의 새 아파트로 변신한다.

또 송파구 잠실 미성·크로바(1903가구)와 진주(2870가구)의 재건축도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건설사 관계자는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도 유예가 올해로 끝나기 때문에 대부분의 재건축 아파트들이 서울시가 요구하는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는 분위기”라며 “최근에는 재건축의 내용도 중요하지만 속도가 더 중요하다는 것이 재건축 조합원들의 분위기”라고 전했다.

이번에 연기된 잠실 주공5단지 조합은 최고 50층, 40개 동, 6529가구로 재건축한다는 계획안을 제출한 상태다. 업계에서는 잠실 주공5단지의 심의 통과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잠실의 한 공인중개사는 “잠실 주공5단지만 50층을 내주면 인근 미성·크로바나 진주아파트 재건축과 형평성 논란을 겪을 수 있다”면서 “특히 앞으로 남아 있는 압구정 현대아파트 재건축 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허가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 재건축 조합 관계자는 “한두 차례 더 연기되면 올해 사업이 쉽지 않을 수 있다”며 “결국 설계가 바뀌지 않겠느냐는 것이 주변의 시각”이라고 전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7-01-23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