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5대 시중은행 희망퇴직 2625명
점포수 줄이고 디지털 금융으로 재편
우리은행 IT인재 채용 절반까지 확대
“일반 직군도 코딩·데이터 역량 갖춰야”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6/24/SSI_20210624231518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6/24/SSI_20210624231518.jpg)
24일 은행권에 따르면 지난해 말부터 이달까지 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희망퇴직 신청 인원은 2625명이나 됐다. 1년에 한 차례 이뤄졌던 희망퇴직이 이례적으로 두 차례 진행되고, 희망퇴직 연령도 40대까지 낮아졌다.
디지털 금융으로 전환하는 은행들이 점포 수를 줄이면서 기존 은행원들이 설 자리를 잃은 데다 희망퇴직으로 챙길 수 있는 퇴직금이 적지 않은 영향이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국내 시중은행 임직원 수는 지난 3월 기준 6만 6317명이다. 5년 전인 2016년 3월(7만 2404명)과 비교하면 6000명 넘게 줄었다. 시중은행의 점포 수는 같은 기간 4241개에서 3515개로 감소했다.
은행 관계자는 “바뀌는 금융 환경에 따라 점포 수를 줄이면서 전체적인 직원도 감소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은행원들이 떠난 자리는 디지털 인력으로 메워지고 있다. 각 은행은 지난해 수시채용 형태로 디지털·ICT 분야 인력을 40~100명 뽑았다. 올 상반기까지도 주요 시중은행들은 전통적인 은행원 분야에 대한 공개채용 대신 디지털·ICT·데이터 분야 수시채용을 진행하고 있다.
공개채용에서도 은행원 분야의 선발 비중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국민은행이 지난 8일 발표한 상반기 채용 계획을 보면 전체 채용 인원 200명 중 ICT와 데이터 부문이 절반 이상이다.
우리은행은 올해부터 디지털 부문의 채용 비중을 전체 채용 인원의 40~50%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신한은행도 디지털·ICT 분야에 대한 수시채용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은행들은 기존 직원들에 대한 디지털 교육, IT 역량을 갖춘 임원급 인사 영입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
은행 관계자는 “기존 직원들은 ‘디지털 인재’로 전환할 수 있도록 코딩이나 데이터 교육을 하고 있다”며 “신규 채용되는 직원들에 대해선 일반 은행원 직무라도 기본적인 IT 역량을 갖췄는지 확인하고 있고, 앞으로는 그 요건이 더 엄격해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2021-06-25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