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0.6%P 인상… 연 2.3% 예금도 등장
토스 내년 한도 축소에 ‘갈아타기’ 가능성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13/SSI_20211213191303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13/SSI_20211213191303.jpg)
케이뱅크는 13일 예금과 적금 등 수신상품 금리를 일제히 인상했다고 밝혔다. ‘코드K 정기예금’의 금리는 가입 기간별로 1년 이상은 연 1.5%에서 2.0%, 2년 이상은 연 1.55%에서 2.1%로 올렸다. 특히 가입 기간 3년 이상은 1.6%에서 2.2%로 0.6% 포인트 상승했다. 적금 금리도 0.3∼0.45% 포인트 인상됐다. ‘주거래우대 자유적금’의 최고 금리는 연 2.3∼2.5%, ‘코드K 자유적금’의 금리는 연 2.1∼2.3%로 적용된다.
앞서 카카오뱅크도 지난 8일 예적금 금리를 최대 0.4% 포인트(3년 만기 정기예금) 인상했다. 정기예금(1년 만기 기준)의 금리는 기존 1.5%에서 1.8%로 0.3% 포인트 올랐다. 자유적금의 기본금리도 1년 만기 기준 기존 연 1.6%에서 1.9%로 0.3% 포인트 인상됐다. 우대금리까지 포함하면 최대 연 2.1%의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다.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가 줄줄이 수신금리 인상에 나선 데는 지난달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시중은행들이 예적금 금리를 일제히 올렸기 때문이다.
난감한 곳은 인터넷은행 3위 사업자인 토스뱅크다. 토스뱅크는 연 2.0% 금리를 내세워 고객 몰이에 나섰지만 역마진 우려로 최근 1억원으로 한도를 설정해 뭇매를 맞았다. 게다가 다른 인터넷은행들까지 수신금리를 2.0% 내외로 올리면서 수신 경쟁력에 빨간불이 켜졌다. 토스뱅크의 ‘1억원 초과 0.1% 금리’ 적용은 내년 1월 5일부터로 아직은 이용객이 대거 이탈하는 움직임이 보이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시간 문제라는 관측도 나온다. 내년 초부터는 본격적인 ‘갈아타기’가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 토스뱅크 관계자는 “토스뱅크는 다른 은행과 달리 만기 조건이 없고, 하루만 넣어도 이자가 쌓인다는 점에서 여전히 경쟁력이 크다고 본다”고 말했다.
2021-12-14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