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불안 5개월째 ‘위기’… 2금융권 가계빚 경고등

금융불안 5개월째 ‘위기’… 2금융권 가계빚 경고등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3-03-24 02:03
업데이트 2023-03-24 02: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레고랜드 사태 이어 SVB 여파로
고위험 가구 3년 새 1.9배나 늘어
PF 위험 규모 115조… 5년새 4.2배

이미지 확대
지난해 ‘레고랜드 채무불이행’ 사태로 ‘위기’ 수준에 다다른 금융불안지수(FSI)가 지난달까지 5개월 연속 위기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파른 금리 인상과 경기 둔화, 부동산 시장 한파 등 국내 요인에 미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과 같은 미국 은행발 위기까지 겹치면 금융시장과 외환시장에 불확실성이 커지고 제2금융권을 중심으로 신용위험이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금융불안지수는 지난 2월 기준 21.8로 집계됐다. 금융불안지수는 지수가 높을수록 금융 불안이 커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난해 10월 레고랜드 사태로 자금시장이 얼어붙은 당시 23.5를 기록한 뒤 5개월째 위기 단계(22 이상)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김인구 한은 금융안정국장은 “지난해 말 레고랜드 사태 이후 시장 안정화 조치 등에 힘입어 금융시장 불안이 다소 진정되는 모습이나, 대내외 불확실성 증대 등으로 금융불안지수가 위기 단계를 유지했다”며 “특히 경제 주체의 신용위험과 무역수지 적자 등 대외 부문에 대한 경계감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금리 인상으로 가계와 기업의 부채 부담이 커져 금융 불안이 증폭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가계부문에서는 소득 대비 부채 비중이 높아 집을 포함한 모든 자산을 팔아도 부채를 상환하지 못하는 ‘고위험가구’가 약한 고리로 지적된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 2월 현재 고위험가구는 전체 금융부채 보유 가구의 5.0%를 차지하는데 이는 2021년 2.7%에서 1.9배 급증한 것이다. 이들이 보유한 금융부채는 가계부문 전체 금융부채의 9.0%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들의 평균 금융부채는 2억 5000만원으로 비(非)고위험 가구의 1.5배다. 고위험가구가 연체를 경험한 비율은 14.7%로 비고위험가구(7.0%)의 2배에 달한다. 은행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위험가구 대출 비중이 높은 저축은행(26.6%)과 여신전문금융회사(16.6%)의 가계대출 연체율이 향후 빠르게 상승할 수 있다.

한편 비은행권 전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익스포저(위험노출액) 규모는 지난해 9월 말 기준 115조 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업권별로 다르지만 카드사(여신전문금융사)의 경우 2017년 말 대비 4.2배까지 급등했다. 한은이 비은행권이 참여한 PF사업장의 리스크 수준을 산출한 결과 종합 리스크 점수가 2020년 말 53.7점에서 2021년 말 58점, 지난해 9월 말 67점으로 상승해 1년 9개월 사이 24.8% 급등했다.

김소라 기자
2023-03-24 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