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 높지만 만기 채울 자신 없어”
청년들 입장선 기간·금액 부담 커
일부 ‘부모 찬스’ 도입 취지 사라져
청년도약계좌 100만명 개설 기념 강연회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회장이 1일 서울 중구 IBK 중소기업은행 대강당에서 청년도약계좌 100만 번째 개설을 축하하며, 중소기업 재직 청년, 사회초년생 등을 대상으로 강연을 진행하고 있다. 2024.4.1 금융위원회 제공.
20조원 상당의 청년희망적금이 대규모 만기를 맞았지만 청년도약계좌 연계율은 4명 중 1명꼴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로 적금을 이어 가기로 한 연계 가입자 수는 49만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청년희망적금 만기 도래자 202만명 중 24.3%에 해당한다. 지난 1월 25일부터 시작된 연계 가입 신청 접수가 이달 말까지 이어지기 때문에 연계 가입자 수는 더 늘어날 수 있지만 4명 중 3명은 여전히 연계를 선택하지 않은 셈이다. 청년도약계좌는 5년간 매달 40만~70만원을 적금하면 지원금(월 최대 2만 4000원) 등을 더해 약 3000만~5000만원가량의 목돈을 만들 수 있도록 설계됐다. 실질금리 연 8~10%대 수준에 비과세 혜택까지 더했다. 여기에 정부는 기존 청년희망적금 만기 금액을 청년도약계좌에 일시 납입하면 인센티브를 지급하겠다고 안내했다.
연계 가입자 증가 등에 힘입어 청년도약계좌 가입자 수는 지난달 말 기준 123만명으로 늘었지만 금융당국이 출시 초기 예상한 가입 예상 규모인 300만명에는 한참 못 미친다. 예상보다 낮은 연계율은 최소 40만원을 5년간 매월 내야 하는 부담이 걸림돌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혜택을 최대로 받기 위해서는 월 70만원을 청년도약계좌에 넣어야 하는데 월 70만원은 청년 스스로 벌어 내기엔 부담스런 돈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얼마 전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한 강모(27)씨는 이른바 ‘부모 찬스’를 쓰기로 했다. 강씨는 “청년이 스스로 벌어 매월 40만~70만원을 내는 것은 사실 큰 부담”이라면서 “다만 이자 조건이 너무 좋아 희망적금에 이어 도약계좌도 부모님이 내주시기로 했다”고 말했다. 소득이 적은 청년들을 위해 탄생한 청년도약계좌의 취지가 흐려졌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금융위 관계자는 “청년희망적금 연계 가입으로 4조~5조원이 청년도약계좌로 유입될 것으로 전망했는데 아직 달성하지 못했다”면서 “이달 말까지 연계 신청을 받을 예정이라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2024-05-06 1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