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25일 매파적 인하” 예상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견조한 흐름을 보이면서 올해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가 0~1차례에 그칠 수 있다는 데 시장의 관측이 모이고 있다. 내수 경기 부진 속에서 경기 부양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한미 금리 차를 고려했을 때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여력이 더욱 줄어들었다는 평가가 나온다.11일 한국은행 뉴욕사무소의 보고서에 따르면 이달 글로벌 투자은행(IB) 10곳 중 5곳이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올해 금리 인하 횟수를 0~1회로 전망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와 도이체방크는 지난달에 이어 이달에도 연내 금리 동결을 예상했고, 노무라는 지난달 1회에서 이달 동결로 변경했다. 모건스탠리가 2회에서 1회로 줄였고, 바클리가 1회 전망을 유지하면서 모두 5곳의 IB가 올해 금리 인하를 0~1회로 예상했다.
국제금융센터도 “주요 IB들의 연말 정책금리 전망 중간값이 4%에서 고용 지표 발표 후 4.13%로 상승하며 연중 예상 인하 횟수가 2회에서 1회로 축소됐다”며 “선물시장에 반영된 인하 재개 시점은 3분기(7~9월)로 예상됐다”고 전했다.
이 같은 판단은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견조하다는 인식이 확산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연준은 지난달 29일 정책금리를 동결하면서 정책결정문에서 인플레이션 상황에 대해 “다소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금리 동결을 발표했다.
한은은 “지난 1월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정책금리가 예상대로 동결된 가운데 정책결정문 변화가 다소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으로 받아들여졌다”고 평가했다.
이에 오는 25일 기준금리 결정을 앞둔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지난달 금통위는 고환율을 이유로 금리를 동결하면서도 3개월 내 금리 인하 가능성이 있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그러나 지난 6일 이창용 한은 총재는 외신 인터뷰에서 “이번 금통위에서 인하가 불가피한 것은 아니다”라고 언급하면서 금리 인하 기대감을 완화시켰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고환율 상황에서 금리를 내리면 환율이 올라 내수가 더 악화하는 등 부작용이 커질 수 있기 때문에 한은의 부담이 커진 상황”이라면서 “오는 금통위에서 경기 부양을 위해 기준금리를 인하하되 향후 금리 인하 속도 조절을 시사하는 ‘매파적 인하’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2025-02-12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