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진짜 노조’ 생기나

포스코 ‘진짜 노조’ 생기나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18-09-11 23:12
업데이트 2018-09-12 01: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5일 첫 총회… 새달 설립 관심

삼성처럼 사실상 50년 무노조

삼성과 더불어 사실상 ‘무노조’ 상태였던 포스코에 창립 50년 만에 ‘진짜’ 노동조합이 생길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민주노총 등의 강력한 지지를 얻고 있지만 과거에도 설립이 무산됐던 전례가 있었던 만큼 실제 포스코 노조 설립이 ‘결승선’을 통과할 수 있을지 회의적인 관측도 없지 않다. 반면 노조 설립 시 제철소의 특성상 강경 노선을 유지할 경우 경영에 큰 부담이 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 노동조합이 다음달 정식적인 조직 체계를 갖출 것으로 보인다. 노조 가입을 신청한 포스코 직원들은 오는 15일부터 1박2일 일정으로 첫 비공개 총회를 가질 예정이다.

포스코는 과거부터 노조는 존재하지만 무노조에 가깝다는 평가를 받는다. 1990년 약 2만명 규모의 대형 노조가 세워졌으나 노조 간부의 금품수수 사건으로 조합원들이 대거 이탈해 현재는 10명 안팎으로 쪼그라들었다. 지금은 1997년 세워진 노경협의회가 직원들의 임금협상·복리후생·근로조건 문제 등을 협의하며 사실상 노조 역할을 하고 있다. 노조 설립에 관여하는 한 관계자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정치적 외풍을 탔고, 특히 과거 정부의 자원외교 비리에 회사가 얽혔다는 소식 등을 접하며 직원들 사이에서 노조 설립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진 듯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포스코 내부적으로는 노조 설립이 제대로 이뤄질 수 있을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신중한 목소리도 나온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8-09-12 2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