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 연료전지 선도 기술력 토대 ‘협동로봇’ 성장 박차

두산, 연료전지 선도 기술력 토대 ‘협동로봇’ 성장 박차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19-01-30 17:40
업데이트 2019-01-31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두산이 ‘2018 인터드론’ 전시회에서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DMI)이 개발한 드론용 연료전지팩을 장착한 드론을 선보이고 있다.  두산 제공
두산이 ‘2018 인터드론’ 전시회에서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DMI)이 개발한 드론용 연료전지팩을 장착한 드론을 선보이고 있다.
두산 제공
박정원 두산 회장은 신년사에서 “그룹의 신사업을 속도감 있게 키울 것”이라고 선언했다. 박 회장은 “연료전지 사업은 선도 업체로 자리매김한 자신감을 토대로 시장 확대에 힘을 기울이고, 협동로봇·드론용 수소연료전지 사업은 본격 성장을 위해 박차를 가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두산은 2017년에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유망 기술로 손꼽히는 협동로봇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2015년 두산로보틱스를 설립하고 업계 최고 수준의 연구진과 개발자를 영입해 2년여간 연구개발을 진행해 4개 모델의 협동로봇을 자체 기술로 개발했다. 기존 산업용 로봇이 작업자와 분리된 안전 펜스 안쪽에 배치된 반면 작고 가벼워 이동시키며 자동화를 구현하기에 편리한 협동로봇은 펜스 없이 작업자 곁에서 함께 일할 수 있는 로봇이다. 지난해 두산은 기존의 연료전지 원천 기술을 바탕으로 드론용 수소 연료전지팩 시장에 진출했다.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DMI)은 지난해 9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2018 인터드론’ 전시회에서 수소 용기 1회 충전으로 2시간 이상 비행이 가능하게 한 드론용 수소 연료전지팩을 선보였는데, 이는 기존 20~30분에 불과하던 드론용 배터리의 비행 시간 한계를 극복한 제품으로 평가됐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9-01-31 1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