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창수 GS 회장, 전경련 회장 4연임

허창수 GS 회장, 전경련 회장 4연임

김민석 기자
김민석 기자
입력 2019-02-27 15:33
업데이트 2019-02-27 15: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적폐집단’ 전경련 주홍글씨 벗는 게 숙제

허창수 GS 회장이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회장에 4연임하면서 국정농단 사태 뒤 회장을 구하는 데 어려움을 겪던 연합회가 한 시름 놓게 됐다.
37대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으로 선출된 허창수 GS 회장이 27일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연설하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제공
37대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으로 선출된 허창수 GS 회장이 27일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연설하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제공
전경련은 27일 제58회 정기총회를 열고 허 회장의 재선임 안건을 통과시켰다. 다섯번째 임기를 시작하게 된 허 회장은 2011년부터 2021년까지 10년을 재임하게 돼 고(故)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1977∼1987년)과 나란히 최장수 회장이 된다.

허 회장은 전경련이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뒤 ‘적폐집단’으로 각인된 이듬해인 2017년 2월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혔다. 하지만 당시 4대 그룹이 전경련을 탈퇴한 데다 다른 대기업 총수들도 회장직을 고사하는 바람에 불가피하게 연임했다. 이번에도 전경련이 새 사령탑을 구하는 데 어려움을 겪자, 한 차례 더 회장직을 맡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허 회장은 취임사에서 “전경련이 혁신안을 발표하고 새롭게 태어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 왔지만, 아직 국민들이 보시기에 부족한 점이 있다”면서 “앞으로 국민들과 회원들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허 회장은 저성장 극복과 지속가능 성장, 일자리 창출, 산업경쟁력 강화, 남북경제협력 기반 조성 등 4대 중점사업 방향을 제시했다. 하지만 그에게는 땅에 떨어진 전경련 위상을 다시 세우는 것이 더 무거운 과제로 남아 있다.

국내 대표 경제단체였던 전경련은 현 정부에서 대통령 해외순방 경제사절단, 청와대 신년회, 여당 주최 경제단체장 간담회 등에서 줄곧 소외됐다. 삼성, 현대차, SK, LG 등 대기업 회원사들이 탈퇴하고, 여의도 회관 입주사들도 줄줄이 빠져나가 재정난도 깊어졌다. 인력도 약 60%가 줄어들었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