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 본사 사옥. 한전은 인프라·자산관리·업무지능화·비즈모델 등 4대 분야에서 디지털 변환을 꾀하고 있다. 한국전력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3/29/SSI_20210329211955_O2.jpg)
한국전력 제공
![한국전력 본사 사옥. 한전은 인프라·자산관리·업무지능화·비즈모델 등 4대 분야에서 디지털 변환을 꾀하고 있다. 한국전력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3/29/SSI_20210329211955.jpg)
한국전력 본사 사옥. 한전은 인프라·자산관리·업무지능화·비즈모델 등 4대 분야에서 디지털 변환을 꾀하고 있다.
한국전력 제공
한국전력 제공
지난해까지 디지털 변환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중점을 두었다면 올해부터는 솔루션 개발에 비중을 늘려 나갈 예정이다. 한전이 세운 데이터사이언스연구소는 에너지 분야에 특화된 인공지능(AI)과 데이터 분석 모델 연구개발을 통해 에너지 분야에서의 4차 혁명을 주도하고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는 ‘지식발전소’다. 전력산업에 관련된 인공지능 모델연구, 알고리즘 개발과 소프트웨어 프로토타입 개발까지 모든 과정을 연구원들이 직접 수행하고 있다.
비정상 전력 사용량을 탐지해 ‘1인 가구 안부 살핌 서비스’를 개발하고 전력 공사현장 투입인력의 실시간 신원을 확인하는 얼굴인식 기술을 자체 기술로 개발했다. 입찰담합 포착 시스템과 전력 설비의 고장예측 기술도 개발했고 지능형 전력맵 개발도 추진 중이다.
지능형 디지털 발전소(IDPP)도 추진하고 있다. IDPP는 발전소의 주요 기기인 보일러·터빈·발전기·보조기기의 설계, 운전, 예방정비 등 전 주기를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플랫폼의 기술과 접목해 디지털 공간에서 형상화함으로써 운영 효율을 극대화하는 최신 기술이다.
한전은 자체 개발한 디지털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전력그룹사가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표준플랫폼 구축과 빅데이터·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발전소 운영, 진단, 예측 프로그램 개발도 추진하고 있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21-03-30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