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생산량의 35%… 공급망 차질 우려
“글로벌 라인 연계 등 다각적 대책 마련”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사옥. 서울신문 DB](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10/SSI_20211210150003_O2.jpg)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사옥. 서울신문 DB](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10/SSI_20211210150003.jpg)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사옥. 서울신문 DB
삼성전자는 이날 사내 매체 뉴스룸에 올린 ‘중국 시안의 코로나19 상황’ 관련 공지사항을 통해 “최근 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됨에 따라 생산라인의 탄력적 조정을 진행 중”이라며 “이는 임직원의 안전과 건강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회사의 경영방침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2014년 가동을 시작한 삼성전자의 시안 낸드플래시 공장은 삼성의 유일한 해외 메모리 공장으로 지난해부터 가동된 제2공장을 포함해 삼성 낸드플래시 생산량의 35%가량을, 전 세계 낸드 생산량의 10%가량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낸드플래시는 주로 PC 저장장치와 스마트폰, 이동식 저장장치(USB) 등에 사용된다.
대만의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는 시안의 봉쇄령과 관련해 “인적·물적 이동이 제한되면서 삼성전자 시안 낸드플래시 공장의 원재료 확보와 낸드플래시 제품 배송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한 바 있다. 삼성전자는 업계의 부정적 전망에 “글로벌 생산라인 연계를 포함한 다각적인 대책을 마련해 고객 서비스에도 차질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시안에 전기차용 배터리 생산공장이 있는 삼성SDI는 도시 봉쇄령에도 공장이 차질 없이 가동되고 있다고 밝혔다.
2021-12-30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