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4/29/SSI_20210429111914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4/29/SSI_20210429111914.jpg)
지난해(351억 달러)보다는 13% 감소했지만 코로나19 사태가 이어지면서 세계 경기의 불확실성으로 발주 공사가 감소하는 등의 상황을 고려하면 의미 있는 실적이라고 국토부는 평가했다. 해외건설 수주액은 2010년 700억 달러를 돌파한 이후 2014년까지 매년 500억 달러 이상을 유지해 왔으나 2016년부터는 유가 하락 등 대외여건 악화로 300억 달러 안팎에 머무르고 있다.
지역별 수주 비중은 중동(37%), 아시아(30%), 유럽(15%), 북미·오세아니아(13%) 순이다. 중동 수주실적이 전년 대비 16% 감소했으나 북미·오세아니아 지역에서 620% 늘어난 5억 5000만 달러를, 유럽에서는 188% 증가한 16억 달러를 수주했다. 공종별로는 플랜트(산업설비) 수주가 절반 이상(58%)을 차지했다. 이어 토목(19%),전기(10%) 등의 순이다.
올해 수주 금액이 가장 큰 공사는 현대건설과 현대엔지니어링의 사우디아라비아 ‘자푸라 가스처리시설’ 공사로 수주액이 28억 8000만 달러에 달했다. 이 사업은 사우디 최초의 셰일가스 개발 사업으로, 한국 기업이 주도적으로 참여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투자형개발사업(PPP) 가운데는 GS건설이 글로벌 건설사와 파트너십을 통해 수주한 호주의 도로터널 건설사업(23억 8000억 달러)이 규모가 가장 컸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