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합뉴스
현대차 울산공장 야적장 자료사진.
연합뉴스
연합뉴스
6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가 발표한 ‘2021년 자동차 신규등록 현황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자동차 판매대수는 전년보다 9.0% 감소한 173만 5000대였다. 공급망 차질로 신차 출고가 원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는 최근 5년간 평균 판매량(182만 2000대)에도 미치지 못하는 숫자다.
내수판매액은 역대 최대치였던 지난해 기록을 깼다. 76조 6000억원으로 전년보다 1.8%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신차 가격의 평균도 4000만원을 돌파했다. 고급차,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전기차 등 가격이 비싼 차를 선호하는 현상이 두드러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공급망 불안으로 전반적인 차량의 가격이 상승하는 ‘카플레이션’(자동차+인플레이션)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프리미엄 라인업 위주인 수입차도 30만 9000대를 판매하며 사상 최대 판매치를 갈아치웠다. 시장 점유율도 32%를 기록했는데, 수입차 비중이 30%를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메르세데스벤츠 등 독일계와 테슬라 등 미국계 브랜드가 판매 호조를 이뤘다. 일본계는 하이브리드차 위주로 일부 브랜드의 판매가 이전보다 증가하기도 했으나, 여전히 일본산 불매운동 이전의 절반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동력원 중에서는 하이브리드의 인기가 두드러졌다. 지난해 하이브리드의 시장 점유율은 16.9%로 전년(10.8%)보다 대폭 확대됐다. 현대자동차의 ‘투싼’, ‘싼타페’, 기아의 ‘쏘렌토’, ‘스포티지’ 등 인기 내연기관 모델이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것으로 평가되는 하이브리드로도 출시되면서 소비자들의 관심을 끈 것으로 보인다.
정만기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은 “최근 고가 수입차량 판매 급성장세는 수요 고급화와 개성화 추세에도 기인하지만, 법인과 사업자에 대한 세제지원 혜택에서 비롯된 측면도 있다”면서 “업무용으로 차량을 구매한 뒤 실제로는 가족 등 자가용으로 편법 이용하는 부작용을 해소하기 위해 업무용 승용차 차량 가격 상한선 등의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