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디지털 성숙도 40.7점…“경영 체력 강화 위한 디지털 전환 지원 필요”

中企 디지털 성숙도 40.7점…“경영 체력 강화 위한 디지털 전환 지원 필요”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23-01-08 11:16
수정 2023-01-08 13: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국내 중소기업 60% 이상이 글로벌 디지털화 대비가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의 경영 체력 강화를 위한 디지털 전환 지원 필요성이 제기된다.

8일 중소기업중앙회가 최근 내수 및 수출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2 중소기업의 디지털 성숙도 조사’에 따르면 조사에 응한 중소기업 19%만이 전략적으로 디지털화에 대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는 디지털 기술과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등을 활용해 경영 전략 관점에서 조직, 프로세스, 비즈니스 모델, 솔루션 및 시스템 등을 혁신하는 디지털 전환에 대해 중소기업의 글로벌 디지털 경쟁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됐다.

조사 결과, 중소기업의 64.3%는 디지털화 전략을 전혀 준비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수출기업은 23.8%, 내수기업은 9.2%만 디지털화를 대비하는 것으로 답했다.

특히 국내 중소기업의 디지털 성숙도는 100점 만점에 40.7점에 불과해 디지털 전환 역량은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제조업(41.4점)이 비제조업(39.2점)보다 높았다. 제조업에서는 수출기업(43.1점)이 내수기업(31.6점)에 비해 높은 점수를 기록했고, 비제조업 역시 수출기업(41.3점)이 내수기업(38.2점) 대비 높은 점수를 보여 수출기업의 디지털 성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들은 디지털 전환에 대비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으로 ▲디지털 기술 장치·프로그램 확보(27.0%) ▲기업문화 변화(23.7%) ▲디지털 기술 활용 교육(23.0%) ▲디지털 기술 활용 전문 컨설팅(22.7%)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공급자 연결(15.3%) 순으로 응답했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코로나19 이후 중소기업의 디지털화는 피할 수 없는 흐름이지만, 우리 중소기업의 준비는 아직도 미흡하다”며 “고금리, 환율변동, 수출감소 등 각종 어려움을 겪는 수출 중소기업의 기초 체력 강화를 위해 디지털 기술 장치 및 프로그램 확보 등 디지털 전환을 보다 적극적으로 지원해 글로벌 무대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