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레·요거트 등 인상 발표 후
‘민생 안정’ 이유로 취소·연기
“작년부터 원자재값 부담 누적”
영업익·현금 보유는 되레 늘어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1/28/SSC_20231128183216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1/28/SSC_20231128183216.jpg)
28일 업계에 따르면 오뚜기는 전날 오전 ‘3분 카레’, ‘토마토 케’ 등의 제품 가격을 4.8~17.9% 인상한다고 발표했다가 당일 저녁 철회했다. 회사 측은 “원부자재 가격 부담이 지난해부터 누적됐다”면서도 “정부의 물가 안정 기조 속에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 민생 안정에 동참하고자 내린 결정”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가격 인상 번복 해프닝은 오뚜기만의 일이 아니다. 풀무원도 이달 초 편의점에 납품하는 ‘다논 요거트’ 판매 가격을 100원 올리겠다는 공문을 보냈으나 마찬가지로 소비자 물가 안정에 동참하겠다며 지난 21일 이를 번복했다. 이 외에도 연초 풀무원 생수, CJ제일제당 조미료·장류, 하이트진로 소주, 롯데웰푸드 아이스크림 등이 가격 인상 방침을 취소하거나 시점을 뒤로 미룬 바 있다.
이 같은 해프닝을 바라보는 소비자의 시선은 곱지 않다. 가격 인상 소식이 알려진 일부 식품 기업들은 “다른 경쟁사는 모두 가격을 올렸다”며 억울함을 토로하지만 소비자단체들은 밀, 팜유 등 원재료값이 내린 점을 근거로 식품 가격 인상 요인이 절대적이지 않은 상황에서 가격 인상을 시도한 것 자체가 의아하다는 반응이다.
더욱이 원가 부담 핑계가 무색하게 식품 기업 상당수가 올해 3분기까지 영업이익이나 현금 보유량 등을 늘리면서 주머니가 두둑해졌다. 오뚜기의 경우 올해 3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212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0.9% 늘었다. 현금 및 현금성 자산도 지난해 말 2410억원에서 올해 3분기 말 4389억원으로 82.1% 증가했다.
풀무원의 3분기 누적 영업이익도 50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1.8% 늘었고 현금 및 현금성 자산도 지난해 말 1326억원에서 1352억원으로 높아졌다.
2023-11-29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