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끝났어도 ‘구직 단념’ 증가
상용직은 19만명 줄어 10년 새 최악
취업해도 고용의 질 갈수록 악화
2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15~29세 청년층 중 ‘쉬었음’ 인구는 39만 8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약 1만 3000명 늘어났다. 쉬었음 인구는 취업이나 실업 상태가 아닌 비경제활동인구 중 중대한 질병 없이 ‘그냥 쉰다’고 응답한 사람을 뜻한다.
지난달 쉬었음에 해당하는 청년 인구는 5월 기준으로 통계 집계를 시작한 2003년 이후 두 번째로 많았다. 가장 많았던 때는 코로나19가 한창인 2020년 5월(46만 2000명)이었다.
저출산·고령화로 전체 청년 인구가 지난해 5월 841만 6000명에서 817만 3000명으로 줄어들면서 ‘그냥 쉰’ 청년 비율 역시 지난해 4.6%에서 올해 4.9%로 뛰었다.
쉬었음 청년은 지난해 9월부터 전년 동월 대비 감소하기 시작했지만 감소폭은 올해 3월부터 축소되는 흐름이 뚜렷했다. 쉬었음 청년 감소폭은 올해 1월 5만 6000명을 정점으로 3월 5000명, 4월 1만 4000명까지 쪼그라들었다가 지난달 ‘증가’로 돌아섰다.
그냥 쉰 청년이 증가한 것은 조건에 맞는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취업을 단념한 구직 단념 청년층이 늘어난 영향이란 게 정부 분석이다. 지난해 11월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쉬었음 청년 실태조사’에 따르면 가장 많은 32.5%가 ‘원하는 일자리가 없어서’라고 응답했다. 올해 1~5월 청년층의 월평균 구직 단념자는 12만 179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집계된 10만 8525명보다 1만 1000여명 더 늘었다. 2022년 13만 6808명에서 지난해 2만 8283명 줄었으나 올해 다시 확대된 것이다.
그나마 취업에 성공한 청년층의 고용의 질도 악화되고 있다. 지난달 청년층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235만 3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254만 8000명)보다 19만 5000명 줄어들었다. 지난달 감소폭은 청년 고용 마이크로데이터 집계를 시작한 2014년 이후 역대 최대치였다.
2024-06-24 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