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샘이나 사회부 기자](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6/02/SSI_20100602214122_O2.jpg)
![윤샘이나 사회부 기자](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6/02/SSI_20100602214122.jpg)
윤샘이나 사회부 기자
국민이 궁금해하는 참상을 있는 그대로 보도하는 것은 언론의 의무이자 권리다. 국방부는 무엇이 두려워 기자들의 현장 접근을 철저히 통제하는가. 포탄도 받아들이면서 언론 보도는 무엇이 두려워 막는 것인지 궁금하다. 이명박 대통령은 불과 여덟달 전 서해상에서 스러져간 천안함 순직 장병들의 이름을 하나하나 부르며 다시는 이런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국토가 유린되는 일이 터졌다. 전쟁으로 볼 수 있는 상황이 발생했는데도 청와대와 국방부의 대처는 국민들을 절망케 한다.
연평도 진입을 시도하는 취재진에 군 관계자들은 “국방부의 허락이 떨어지지 않아 취재진의 출입은 불가능하다.”는 말만 되풀이했다. 유일하게 연평도와 육지를 잇고 있는 해군과 해경함정, 구호물자를 싣고 들어가는 배는 철저히 탑승자의 신원을 통제했다. 군 관계자들은 신분증을 검사해 얼굴을 대조하고, 혹시나 취재진이 숨어들지는 않았는지 함정 기관실과 화장실까지 샅샅이 뒤졌다. 구호를 위해 연평도로 들어가는 제한된 의료진과 자원봉사자들 역시 화면을 찍을 수 있는 카메라나 휴대전화 카메라도 가지고 들어갈 수 없다. 철저한 취재 통제로 인한 결과는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루머와 오해뿐이다. 정확한 보도가 없는 상황에서 트위터와 인터넷 게시판에는 부정확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퍼지고 있다.
sam@seoul.co.kr
2010-11-25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