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매값/노주석 논설위원

[씨줄날줄] 매값/노주석 논설위원

입력 2010-12-01 00:00
수정 2010-12-01 00: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어린 시절 새로 도배한 집 벽에 낙서를 했다는 혐의를 받았다. 결백을 주장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부모님은 거짓말을 한다는 죄목까지 덧씌워 혼을 냈다. 얼마 후 예상치 못했던 범인이 밝혀지자 부모님은 사과와 함께 위로금으로 일원짜리 다섯개를 손에 쥐여 주셨다. 당시 5원은 왕눈깔 사탕 5개를 살 수 있는 거금이었다. 입안 이쪽에서 저쪽으로 굴리면서 볼이 볼록하도록 사탕을 문 달콤함은 그 순간 아픔을 잊게 했다. 그렇지만 훗날 오랫동안 뒷맛이 개운치 않았다.

‘매값’이라는 단어가 대한민국을 떠들썩하게 하고 있다. 재벌 2세가 고용승계를 요구하며 1인 시위를 한 탱크로리 운전기사를 알루미늄 야구방망이 1대에 100만원이라며 때렸다. 국내 굴지 그룹 회장의 사촌 동생인 이 2세는 운전기사가 살려달라고 매달리자 1대당 300만원으로 단가를 올려 더 때렸다고 한다. 그 자리에서 “매 맞은 값”이라며 1000만원짜리 수표 2장을 건넸다. 탱크로리 가격 5000만원은 통장으로 입금했다.

사건이 알려지자 인터넷 포털사이트에서 행해진 가해자의 구속을 청원하는 서명에 이틀 만에 2만명의 누리꾼이 가담했다. “돈이면 다냐.”라는 게 누리꾼의 한결같은 반응이다. 재벌의 비뚤어진 물신주의와 인격모독, 인권유린을 질타했다. ‘노블레스 오블리주’(사회지도층의 도덕적 의무)를 뿌리째 부인했던 3년여 전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의 보복 폭행사건의 재판(再版)이다. 조폭행태는 그때 그대로다. 김 회장 건은 그나마 밖에서 맞고 온 아들을 위한 아버지의 복수극이었다지만, 이번 폭력행사는 인간을 지배하려고 휘두른 야만,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다.

인류의 역사는 폭력의 역사였다고 한다.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감독이 2005년에 제작한 ‘폭력의 역사’라는 미국영화는 “폭력은 폭력을 낳는다.”라는 폭력의 본질에 대해 정면으로 얘기하고 있다. 독일의 사회학자 볼프강 조프스키는 ‘폭력사회’에서 인간이 얼마나 폭력적인 존재인지를 입증했다. 폭력이 가져올 신체상의 고통을 막으려고 인간이 서로 협력해 사회, 종교, 국가를 만들었다는 것이다.

본래 매값이라는 단어는 이청준의 중편소설 ‘매잡이’에서 주인공 곽돌이 쌀 한말 값에 매를 잡혀 술을 사 먹는 대목에 등장한다. 말 그대로 매 한 마리의 값이다. 지금 회자되는 매값은 사람이 몽둥이찜질을 당한 값을 이른다. 폭력의 대가인 셈이다. ‘매 맞은 값’이라는 용어는 그만 지구상에서 사라졌으면 한다.

노주석 논설위원 joo@seoul.co.kr
2010-12-01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