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저우(廣州) 아시안게임이 막을 내렸다. 행사의 후반부가 연평도 군사 충돌로 인해 우리의 관심에서 벗어나긴 했지만, 새롭게 부상하는 중국의 힘과 역동성을 충분히 보여준 대회였다. 중국이 얼마나 성장했는지를 세계에 증명하고 싶어 하는 의도가 역력히 드러난 행사였다. 20년 전의 베이징 아시안게임은 천안문사태 직후 열린 터라 중국의 입장이 수세적이었다면, 이번 광저우의 경우는 자신감에 넘친 최근의 중국 위상을 뽐내려는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모습이었다.
이미지 확대
민귀식 한양대 중국문제연구소 연구교수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민귀식 한양대 중국문제연구소 연구교수
아시안게임 역사상 가장 화려하고 다양한 첨단기술이 동원되었다는 야외개막식 행사는 보는 이의 감탄을 자아내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주장(珠江)을 무대로, 도시를 배경으로’를 캐치프레이즈로 한 개막식은 주경기장이 아닌 도심을 흐르는 강물 위에서 진행한다는 참신한 아이디어의 결과였다. 도시 전체가 개막식의 배경이 되도록 한다는 발상은 이미 베이징올림픽에서도 선보이기는 했지만, 공간 스케일이 큰 중국적인 발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20조 4000억원이라는 천문학적인 돈을 쏟아붓고, 온전히 사람의 힘으로만 조절하는 로프에 매달려 펼친 군무(群舞)의 화려함이나, 57만명의 자원봉사자가 동원된 것도 중국이 아니고서는 생각하기 힘든 일이다.
경기내용으로 보면 아시안게임이 아니라 광저우가 개최한 중국 전국체전에 다른 나라들이 들러리를 섰다는 비아냥도 있지만, 대회의 규모나 외형적인 성공은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런데 이렇게 스케일 큰 행사를 벌이는 중국인의 심리는 무엇일까? 과거 세계를 제패하던 시절의 화려함과 세계 패권에 도전하는 현재 입장에서 추구하는 통 큰 스케일은 동일한 심리의 반영일까?
지난 10월 종료된 상하이 엑스포는 또 다른 의미의 중국적 과시라고 할 수 있다. 여의도 면적의 62%나 되는 전시장 크기는 그 이전 개최지인 스페인 사라고사 엑스포의 20배나 돼, 행사규모에서 어느 나라도 중국을 따라올 수 없다는 인상을 주고도 남았다. 또 전시 참가국과 행사장 면적 및 관람객 수, 그리고 200만명에 달한 자원봉사자 등은 159년 엑스포 역사에서 여러 가지 최고 기록을 남겼다. 지난 9월 30일 시안(西安)에서 개원한 당나라 궁전 대명궁(大明宮)의 규모는 중국이 가장 강성했던 시기의 스케일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다. 약 24조원을 들여 복원한 이 궁전은 그 크기가 자금성(紫禁城)의 4.5배이고, 프랑스 루브르궁전의 8배나 된다. 당시 제국이던 당나라 수도 장안(長安)의 힘을 짐작하게 한다. 궁전으로 뻗은 주작대로(朱雀大路)는 너무 넓어서 지금은 복원할 수도 없지만, 그 폭이 150m로 요즘의 48차선이나 되었다. 서울의 세종로가 16차선 50m인 것과 비교하면 중국인들의 큰 스케일 선호를 짐작할 수 있다.
중국인은 춘추전국시대에 천자를 위한다는 명분으로 치열한 권력투쟁을 하면서 권위와 그 권위를 보장하는 장치로 스케일 큰 건축물을 짓기 시작했다고 한다. 또 주변국의 복종을 강요하는 세계 중심국의 상징으로 화려한 건물을 활용했고, 이것이 특유의 체면문화와 결합되면서 한층 강화되고 일반화되었다. 즉, 백성들이 체면과 과시를 위해 크고 화려한 것을 선호했다면, 지배층은 이를 권위와 권력의 상징으로 활용한 것이다.
체면은 자신의 부족함을 감추려는 심리가 내재돼 있고, 과시는 열등감에 대한 보상심리가 작동하는 행동이다. 그래서 오래된 부자는 검소할 수 있지만 벼락부자는 화려한 치장을 버리지 못하는 것이다. 국가권력도 제국의 정점에 있을 때는 스케일 크기를 방어적으로 활용하는 데 치중하지만, 제국에 도전하는 입장에서는 그것을 상대를 압도하거나 자신의 힘을 공격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수단으로 삼게 된다. 이것이 당나라의 원래 대명궁과 최근 복원된 대명궁의 상징이 달라 보이는 이유이고, 올림픽과 엑스포에 이은 아시안게임의 화려함을 마냥 찬탄만 하기에는 마음 한쪽에 걸리는 게 있는 이유이다.
2010-12-0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