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근초고왕과 한성백제박물관/이도학 한국전통문화학교 한국고대사 교수

[시론] 근초고왕과 한성백제박물관/이도학 한국전통문화학교 한국고대사 교수

입력 2010-12-29 00:00
수정 2010-12-29 00: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백제 역사에는 가려지거나 왜곡된 부분이 적지 않지만 한성백제의 경우는 더욱 심한 편이다. 한성백제는 지금의 서울 송파구에 소재한 한성에 도읍했던 약 500년(BC 18~AD 475)간의 역사를 갖고 있는데, 시간상 백제사의 70%를 점유할 정도로 비중이 크다. 고려나 조선과 같은 무려 1개 왕조의 존속 기간에 비견되는 장구한 역사였다. 그럼에도 한성백제의 인지도는 낮다. 웅진백제는 처녀분인 왕릉 발굴과 연계된 무령왕, 사비백제는 허구의 산물인 삼천궁녀와 엮어진 의자왕이라도 연상시킨다. 그러나 한성백제 하면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선뜻 연상되는 왕이 없었다. 물론 이러한 지적은 일반인들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그러나 이들의 이해도가 기실은 가장 중요하지 않을까 싶다.

이미지 확대
이도학 한국전통문화학교 한국고대사 교수
이도학 한국전통문화학교 한국고대사 교수
그런데 최근 KBS 1TV에서 야심작으로 방영하고 있는 대하사극 ‘근초고왕’을 통해 한성백제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필요성을 체감하게 된다. 사실 백제 역사상 걸출한 군주인 성왕이 닮고자 했던 이가 근초고왕이었다. 그러니 근초고왕은 한성백제는 물론이고 백제 역사상 웅위한 업적을 기록한 대표적인 군주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다. 근초고왕은 남으로는 마한의 잔여 세력을, 동남으로는 낙동강 유역에 진출하여 가야 세력을 제압했다. 근초고왕은 북으로는 고구려를 꺾고, 그 웅자(雄姿)를 찬연하게 드러냈다.

흔히 일반인들의 인식에서 고구려는 강한 나라이지만 백제는 군사적 열세에 놓여 있다는 생각이 보편화되어 있다. 그러나 근초고왕은 고구려를 연속 격파하던 중 결국 고구려 고국원왕의 목을 베기까지 했다. 동북아시아의 강국인 고구려를 꺾었을 정도로 이때의 백제는 군사적으로도 고구려를 압도하였다. 약소국의 대명사처럼 알려졌던 백제에 대한 인식의 일대 전환을 가져오게 한 이가 근초고왕이었다. 흔히들 정복군주 하면 연상하는 고구려 광개토왕이 등장하기 불과 반세기 전에 지축을 흔드는 요란한 말발굽 소리로 한반도를 진동시켰고, 중국대륙과 일본열도를 잇는 거대한 교역망을 구축했던 이가 근초고왕이었다.

700년 백제사의 거의 중간 시점에 등장한 근초고왕은 나머지 절반의 백제사 진행이 가능하도록 국가 조직의 거대한 틀을 완성하였다. 그는 백제 역사의 반환점에 등장하여 백제라는 열차가 왔던 거리만큼 달릴 수 있도록 대대적인 성능 정비와 시설 개선을 하였다. 게다가 새로운 레일도 깔아 미답(未踏)의 세계로도 질주할 수 있게 했다. 그러한 근초고왕의 업적은 진취성과 역동성을 기반으로 한 통일성의 확립이라는 빛나는 성취에서 찾을 수 있다.

때마침 서울시에서는 한성백제박물관의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한성백제박물관은 이름 그대로 한성백제 유물을 전시하는 특화된 문화 공간이다. 그러한 한성백제박물관에 과연 전시할 만한 유물이 있는가에 대해서는 논란이 없지 않다. 서울역사박물관이 있는데도 굳이 한성백제박물관을 건립하는 일은 중복 투자라는 시각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생각들은 모두 기우일 수 있다. 조선왕조에 버금가는 무려 500년의 역사와 문화를 담아야 할 한성백제박물관이 맡아야 할 역할은 무궁무진하다. 일단 동일한 부여 계통으로서 고구려와 경쟁했던 백제의 역사적 위상을 온전히 전달하는 일이다. 이를 통해 백제에 대한 왜곡된 이미지를 교정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그리고 장차 건립될 한성백제박물관은 진폭이 큰 글로벌 군주 근초고왕의 궤적을 온전히 담아내는 것만 해도 벅찬 일일 것이며, 또 그것을 위해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대하사극 시청자들에게서 촉발된 대중들의 한성백제, 근초고왕에 대한 1차적 관심을 그것의 역사와 문화유적 등에 대한 2차적, 지속적 관심으로 전이시킨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그러니 한성백제박물관 추진단은 배전의 노력 정도가 아니라 뼈를 깎는 노력이 필요하다. 다행히 좌고우면하지 않고 박물관 건립 사업을 소신 있게 밀어준 서울시 당국인 만큼, 그 노고가 헛되지 않을 것으로 믿어 본다.
2010-12-2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