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장비와 제갈량/박대출 논설위원

[씨줄날줄] 장비와 제갈량/박대출 논설위원

입력 2011-02-12 00:00
수정 2011-02-12 02: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국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에는 여러 장수가 등장한다. 무용(武勇)으로는 여포(呂布)가 으뜸이다. 유비·관우·장비 삼형제를 단기필마로 맞선다. 호로관에서는 18개국의 동맹군을 혼자 막아낸다. 적토마는 전투력을 높여주는 동반 무기다. 그러나 꾀가 없고 시기(猜忌)가 많다. 절개가 없고, 물욕이 많다. 무예만 뛰어난, 즉 쌈박질만 잘하는 것이다.

무예에선 관우나 장비도 못지않다. 관우는 당대 최고의 용장으로 꼽힌다. 중국의 유교에선 무성(武聖), 불교에선 부처, 도교에선 천존(天尊), 민간에선 무신(武神)으로 추앙받는다. 관우는 장비가 한수 위라고 했다. 적장의 머리 베기를 주머니 속의 물건 꺼내듯 한다고 했다. 그래서 조조의 백만대군이 장판교에서 혼자 버티는 장비에게 달려들지 못했다.

관우·장비는 충성의 전형이자, 의리의 상징이다. 도원결의로 유비를 평생 모신다. 속된 말로 밉상인 여포와 다르다. 관우는 냉정하고 차분하다. 명의 화타에게서 독화살을 빼내는 수술을 받아도 태연하다. 반면 장비는 성격이 호방하나 과격하다. 잘 참지 못하고 싸움을 즐긴다. 제갈량이 낮잠 자는 것에 화가 나 집에 불을 지르려고 했다. 유비가 삼고초려로 제갈량(諸葛亮)을 찾아갔을 때의 얘기다. 결국은 불 같은 성격이 화를 자초한다. 관우가 죽자 복수를 하려고 부하 장수 범강과 장달에게 무리한 요구를 한다. 그로 인해 술에 취해 자는 사이 범강과 장달에게 살해된다.

김준규 검찰총장이 한 말이 뒤늦게 화제다. “장비는 쓰러지고, 제갈량은 떠나고….”라고 했다나. 일선 검사들의 분석은 비슷하다. 장비는 남기춘 전 서울서부지검장, 제갈량은 차동민 서울고검장을 지칭한다는 것이다. 남 전 지검장은 한화·태광그룹 수사를 밀어붙였다. 과잉 수사 논란이 일자 사퇴했다. 의욕이 화를 자초했다. 반면 차 서울고검장은 미묘하다. 검찰 2인자로 1년 6개월간 김 총장을 보좌해 왔다. 김 총장의 뜻에 반해 대검 차장에서 밀려났다. 김 총장이 흔들린 형국이다. 김 총장은 서울 출신. 대구·경북, 호남 인맥과의 갈등설과 맞물린다. 그렇다면 ‘검찰 삼국지’다.

유비는 관우와 장비가 죽자 복수를 결심한다. 제갈량과 조자룡의 만류를 무시하고 북벌을 시도한다. 나라보다 의형제와의 의리를 따라간 것이다. 비록 뜻을 이루지는 못했지만. 김 총장 임기는 이제 6개월 남짓 남았다. 그가 유비의 길을 따를 것인지 궁금해진다. 관우, 장비를 위시한 오호장군(五虎將軍)과 제갈량을 다시 세울 건지도.

박대출 논설위원 dcpark@seoul.co.kr
2011-02-12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